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뮬러 1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F1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F1(동음이의어) 문서
F1(동음이의어)번 문단을
F1(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차기 시즌에 대한 내용은 포뮬러 1/2024시즌 문서
포뮬러 1/2024시즌번 문단을
포뮬러 1/2024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포뮬러 1
Formula 1
파일:포뮬러 1 로고.svg
정식 명칭FIA 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영문 명칭FIA Formula 1 World Championship
창설 연도1894년그랑프리 레이스
1950년
드라이버20명
컨스트럭터10팀
공급 업체엔진메르세데스, 페라리, 르노, 혼다 RBPT
타이어피렐리
BBS[1]
타임 키퍼롤렉스
최근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파일:네덜란드 원형.png 막스 베르스타펜 (2023)레드불 레이싱 RB19
최근 컨스트럭터 챔피언파일:오스트리아 원형 국기.svg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2023)
최다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파일:UEFA GER.png 미하엘 슈마허 | 파일:영국 원형.png 루이스 해밀턴 (7회)
최다 컨스트럭터 챔피언파일:UEFA ITA.png 스쿠데리아 페라리 (16회)
소유사리버티 미디어
회장파일:UEFA ITA.png 스테파노 도메니칼리(Stefano Domenicali)
CTO파일:영국 원형.png 팻 시몬스(Pat Symonds)
모터 스포츠 최고 경영자파일:영국 원형.png 로스 브런(Ross Brawn)
비상임 회장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체이스 케리(Chase Carey)
레이스 디렉터[2]파일:UEFA GER.png 닐스 위티치(Niels Wittich)
상장여부상장기업
상장시장나스닥 (2017년~)
종목코드FWONA
국내 중계 사이트파일:쿠팡플레이 아이콘.svg
공식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국내 커뮤니티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5] | 파일:에펨코리아 아이콘.svg[6] | 파일:클리앙 아이콘.svg[7]
뉴스 사이트파일:4742EBFD-4C07-45F2-A9EE-34E4403687DD.jpg | 파일:6222FF38-5AD7-40E7-959B-5113F9000344.jpg | 파일:29DA21DB-CB77-411A-9834-2BC04C58AD21.jpg
해외 소셜 커뮤니티파일:레딧 아이콘.svg |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공식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위상
2.1. 세계 최고의 모터스포츠
2.2. 대회 규모
3. 챔피언십
3.1. 역대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
3.2. 역대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
4. 역사
5. 그랑프리 진행
5.1. 목요일 - 기자회견
5.2. 금요일 - 1, 2차 연습주행
5.3. 토요일 - 3차 연습주행 및 퀄리파잉(예선)
5.4. 일요일 - 레이스
6. 개최 장소
6.1. 역대 개최지
6.2. 역대 100*n번째 경기
7. F1 팀
7.1. 2024 시즌 F1 출전 팀 목록
7.2. 2024 시즌 F1 팀 감독 목록
7.3. 문서가 있는 (과거) F1 팀
7.4. 문서가 없는 F1 팀
8. 팀의 구성
8.1. 본부
8.1.2. 스태프
8.1.3. 피트 크루
8.1.3.1. 오해
8.1.4. 피트 차고
9. 여담
9.1. 한국에서 비인기인 이유
10. 시즌별 그랑프리
10.1. 개별 문서가 있는 그랑프리 목록
11. 규정
11.1. 레이싱 깃발
12. 사건/사고
13. 용어
14. 방송 중계
15. 테마송
15.1. F1 Tracks
16. 스폰서십
17. 매체에서
18. 하위리그
19. 관련 국내 사이트
20. 관련 문서
2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It's lights out, And away we go![8][9]

#WeRaceAsOne

-

포뮬러 1 캠페인 문구[10]

국제자동차연맹 FIA에서 주관하고 FOM이 상업적 주관을 하는 국제 자동차 프로 레이싱 대회. 정식 명칭은 FIA Formula One World Championship. 약칭으로 Formula 1, F1을 사용한다.[11]


2. 위상[편집]



2.1. 세계 최고의 모터스포츠[편집]


모터스포츠는 기본적으로 "동력기관을 가진 탈것"이라는 큰 틀 내에서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그중 지상에서의 탈것이라 하면 바퀴가 4개든 2개든 혹은 3개나 6개든, 바퀴를 덮어 놓든 노출시켜 놓든, 포장도로를 주행하든 비포장도로를 주행하든, 아예 길이 아닌 곳을 주행하거나 바퀴가 아닌 것으로 주행하든 모두 동력 기관을 가진 탈 것에 속하기 때문에 경주차 형태는 천차만별이다. 경기 방식도 서로 아주 다른데 서킷을 주행하기도 하고 시작점과 도착점이 다른 루트를 타기도 하고, 서킷도 속도를 내기에 최적화된 타원형 서킷인 오벌 서킷과 다양한 형태의 코너가 있는 로드 서킷 등으로도 나뉜다. WRCWRX 같은 경우 비포장도로와 일반 도로에서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12] 환경 자체가 완전히 달라서 일반적인 비교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F1이 인디카(인디 500)[T], WEC(르망 24시)[T], 나스카[13], WRC[14], 모토 GP[15] 등 다른 최상위 클래스의 모터스포츠와 비교해 절대적으로 우월하다 말하기에는 서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객관적인 비교 자체가 어렵다. 아예 F1과 극과 극으로 환경이 달라서 비교할 건덕지 자체가 없는 다카르 랠리, 충돌과 전복와 점프와 착지가 일상적인 수준으로 일어나는 WRXMXGP에 이르면 더 말할 것도 없다. 애초에 F1은 오픈휠이라는 카테고리의 특성상 비 오픈휠에 비해 공기역학적 약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가장 빠른 차를 만드는 데 수많은 기술 제한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스포츠를 비교하는 기준이 다양하다'라는 말일 뿐인 것이지, 기술적 역량이나 천문학적인 투자 면에서 F1에 근접한 모터스포츠는 지구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평균적인 성능만 비교해도 서킷이라는 환경 안에서 F1을 이길 경주차는 그 어디에도 없다고 할 수 있다.[16] 기본 레이스 환경이 달라서 객관적 비교는 어려워도, 동일 서킷에서 기록되는 랩타임을 비교하면 르망 하이퍼카와 비교해도 평균 최소한 10초 이상의 차이가 난다. F1에서 좋은 성적을 낸 선수들이 GT 시리즈나 랠리 같은 곳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도 이를 증명해 준다. 같은 자동차이지만 기본적인 특성부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 다운포스도 예로 들어 보자면 일반적인 고성능 자동차들은 다운포스를 1,000kg 정도만 나와도 어나더 레벨로서 군림하지만 F1에서는 최소한 4,000kg 이상[17]이라는 엄청난 양의 다운포스를 받는다. 이는 로드 코스 버전 인디카나 르망 하이퍼카와 비교해도 독보적으로 높은 수치다. 실제로도 예전에 200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스파-프랑코샹의 오 루즈 코너를 브레이킹 없이 풀 스로틀로 통과해 2분 이하의 랩타임을 끊어낼 수 있는 상위급 레이스카는 F1이 유일했다.[18][19][20]

무엇보다 이는 거의 매년마다 갈아치워지는 도전적 기술 규정들을 무지막지한 현찰 박치기와 R&D 및 투자를 이용해서 뚫는 것으로,[21][22] 기술 규정이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차량의 순수 랩타임은 들쭉날쭉한 편이고 계속 빨라지는 것도 아니지만, 그에 들어가는 기술들의 수준은 항상 진보되어 왔으며 이 부분에서 다른 카테고리들은 감히 범접조차 할 수 없다. FIA가 기술 규정 변경을 통해 차의 성능을 10여 년쯤 뒤로 후퇴시켜 놓아도 진보적인 엔지니어링을 통해 퍼포먼스를 전처럼 다시 돌려놓는 것이 F1 팀들의 역량이다.[23] 단적으로, 2018 시즌에는 헤일로가 추가되고 탑재 가능한 연료량이 많아져서 무거워지고 무게중심도 높아져서 느려질 거라고 예상되었지만 오히려 2017년 대비 평균적으로 1.5초가량 더 빨라지는 극한의 발전을 매년 반복하는 곳이 포뮬러 원이다.
carwow부가티 시론 vs 레드불 RB7[24][25][26] 드래그 레이스 대결 영상

가끔 몇몇 브랜드들에서 양산용 하이퍼카들이 출시될 때마다 일부 저널리스트들이 '몇 세대 F1과 겨뤄도 손색없는 성능'이라는 말같지도 않은 립서비스를 하는 게 종종 보이는데, 기본적으로 양산차는 F1이 아니더라도 보통 경주용 차의 코너링 강도조차 버텨낼 수 없다는 것을 무시하고서라도, 이런 양산차들과 F1의 성능격차는 거의 반 세기라 할 수 있는 대략 40년의 차이가 난다. 게다가 F1에서 세대라는건 없을뿐더러 이런 표현도 거의 쓰이지 않는다.[27] 포뮬러 E와 같이 전체적으로 차체가 정해져 있다면 몰라도. 그리고 가장 이상적인 예를 들자면, F1이 뉘르부르크링의 노르트슐라이페 구간에서 마지막으로 경기를 치른 1976년도 독일 그랑프리까지의 가장 빠른 랩 타임(예선전, 폴 포지션 기록)이 75년도 시즌에 스쿠데리아 페라리니키 라우다페라리 312T를 타고 기록한 6분 58초 6이었다.[28] 이는 현재 최정상급 양산차와 얼추 비슷한 수치다.[29]

당연할 수 있겠지만, 레이싱 드라이버들에게 있어 가장 영광스러우며 가장 도전적인 카테고리이기도 하다. 약 20개에 불과한 시트를 차지하기 위해 온갖 노력과 경쟁을 뚫어야 하며, 심지어 인맥, 재정적, 정치적 수단까지 동원된다. 믹 슈마허, 브루노 세나와 같이 전설적인 전 F1 드라이버의 혈연이라는 점이 이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셀 수 없이 많은 드라이버들이 스폰서를 등에 업고 팀에 간택되거나[30] 반대로 실력은 좋은데 스폰서가 너무 없고 지원금이 부족해서 F1에서 내쳐지게 되는 경우도 있고[31], 랜스 스트롤의 경우처럼 아예 자기 아빠가 회사를 사서 지원해 주는 경우도 있다. 최근 몇 년 동안에는 차량 개발비 등이 천정부지로 치솟다 보니[32] 2013년까진 개발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했기 때문에 팀이 많았지만, 2014 시즌부터 터보, 전기 시스템의 완전한 도입, 그리고 그 이외의 대규모 기술 규정 변경으로 인해 개발비가 엄청나게 올라가서 차량은 커녕 엔진 제조 업체들조차 대기업의 협조 없이는 F1에 참가할 엄두를 못 내고 중하위권 팀들조차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다른 곳에 팔려 가거나 아예 F1에서 빠지냐 마냐가 핫이슈로 떠오르는 게 현재의 상황이다. 따라서 금전적 의존도, 더 나아가서는 큰 스폰서를 두고 있는 페이 드라이버들의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냥 돈이 많거나 스폰서 짱짱한 사람이 F1에 들어오기 훨씬 쉬운 현상이 계속 심해지고 있다. 20세기 말까지만 해도 F1에 대한 유명세가 높아서 팀들과 스폰서십을 체결한 업체가 많아 드라이버의 개인 스폰서 얘기는 좀처럼 듣지 못했던데 반해, 21세기의 F1에 있어서 드라이버 스폰서는 아주 중요해졌다. 물론 모든 카테고리에 맞는 드라이빙 방식과 재능이 다르기 때문에 F1 출신의 드라이버가 다른 종목의 모터스포츠도 씹어먹을 수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같은 빙상 경주라 해도 쇼트 트랙 선수가 스피드 스케이팅과는 다른 자질을 요구받는 것과 비슷하다.[33] 어디까지나 F1은 서킷 레이싱, 그중에서도 오픈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특성에 가장 잘 적응한 선수가 높은 곳에 오르는 곳이다.

그러나 분명 F1 시트는 가장 많은 페이를 보장하는 동시에 가장 영광스러운 시트임에는 분명하며, 이 경쟁을 뚫어내는 것은 모든 모터스포츠를 막론하고 가장 어려운 것이다. 실제로 F1에서 실패한 드라이버가 다른 카테고리로 옮겨가는 경우는 있어도, 다른 카테고리에서 실패한 드라이버가 F1에 입성하는 경우는 거의 전무하다. 무엇보다 애초 F1 데뷔라는 것 자체가 아주 어려운데, 기본적으로 실력과 돈, 심지어 운까지 모두 있어야 갈 수 있는 곳이 F1이다. 자세한 내용은 드라이버 문서의 '되는 방법' 문단 참고.

무엇보다도, '차를 직접 만들어서 경쟁한다'라는 프로토타입 모터스포츠의 태동기 철학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F1이 거의 유일하며, 각 팀이 매 시즌 규정변화에 따라 차를 직접 만드는 것은 물론 시즌 중에도 계속해서 차의 거의 모든 부분들을 개량하고 바꾸어 나가면서 경쟁하는 것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스포츠의 최고봉'이라는 명칭에 걸맞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WEC의 프로토타입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비용은 F1에 비하면 얼마 되지도 않는 데다가 경쟁하는 팀도 두세 팀에 불과하거나 혹은 아예 없어지기도 한다.


2.2. 대회 규모[편집]


파일:f1peo7.jpg

모든 팬분들에게 감사합니다 | F1 70주년 기념 영상
한국에서는 비인기 종목이지만, F1 무대에서 성공하면 국가적 기념식 때 최고 지도자에게 초청받거나[34] 기사 작위를 받거나, 올림픽 개막식 때 오륜기를 들고 나올 정도로 위상이 대단한 스포츠다.[35]

그랑프리 하나에 평균 15~20만 명 정도의 관중이 모이며, 특정 선수 혹은 특정 팀이 홈으로 두는 나라에서 그랑프리가 열리기라도 하면 최소 30만 명 정도는 운집한다. 최근 유럽에서는 특히 인기가 더욱 더 상승하여, 22년에는 8~9월에 열렸던 3연속 그랑프리인 벨기에-네덜란드-이탈리아 3회만으로 100만 관중을 동원하였다. 그리고 23년에는 더욱 더 증가하여 영국 그랑프리에만 48만 명의 관중을 동원하였다. 2010년대에 한 시즌 평균 동원 관중이 100만 명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정말 놀라운 성장세이다. TV 중계의 규모도 대단한데, 평균 시청자수는 전 세계적으로 6억 명 정도. 때문에 프로 스포츠로써 경제적 규모는 천문학적인 수준이며, 팀의 연간 예산이나 총 운영 비용 및 전체 스폰서십의 규모 또한 상상을 초월한다. 현재 F1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루이스 해밀턴[36]보다 더 많이 버는 스포츠 스타는 전 세계를 통틀어 메이웨더, 메시, 호날두, 네이마르, 벤제마 정도밖에 없다.

하지만 전 세계 드라이버 중 20명 정도에게만 허락된다는 특수성을 생각해도 선수들 연봉이 그렇게 대규모는 아니다. 월드 챔피언을 수 회 따낸 페텔이나 해밀턴 같은 경우 메이저 리그UEFA 챔피언스 리그의 탑급 선수들의 천문학적 연봉 수준이지만 나머지 드라이버들의 연봉은 F1의 위상을 생각하면 꽤 작은 편이라 할 수 있다. 루키 드라이버의 연봉은 평균 10~20억 정도인데, 팀 사정이 좋지 못한 경우에는 그 아래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는 드라이버들도 있다. 재밌는 건 연봉을 적게 받는 만큼 드라이버끼리 실력 차이가 연봉 차이만큼 나느냐 묻는다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F1 그랑프리를 개최하는 국가 중 순수 입장료 수입과 중계권료 판매 등으로 흑자를 보는 곳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그보다 그랑프리를 개최하는 주말동안 쏟아져 들어오는 관광객과 그 수입으로 흑자 수입을 얻는 수익 모델이 대부분이다.[37] 사실 이건 올림픽이나 월드컵도 마찬가지다. 그런 세계적 규모의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기 위해 때려붓는 돈을 순수 입장료로 메울 수는 없다.[38]

원칙적으로 그랑프리는 한 국가당 하나만 개최할 수 있고[39] 유치하기 위한 경쟁과 비용 또한 엄청나서 거의 국가적 행사로 취급되기도 한다. 일례로 러시아 그랑프리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주도하고 레이스에 직접 참관했으며, 심지어 포디엄에 가서 1, 2, 3등에게 시상까지 해주었다.


3. 챔피언십[편집]


각 그랑프리마다 순위에 따라 차등하여 승점을 부여하고 시즌동안 획득한 승점을 총합하여 월드 챔피언을 결정한다. 월드 챔피언십은 컨스트럭터 월드 챔피언드라이버 월드 챔피언이 있다.


3.1. 역대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원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00a19c,#5efff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0000><width=10%> '''{{{#white 1950~195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58시즌|{{{#white 195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59시즌|{{{#white 195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0시즌|{{{#white 196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1시즌|{{{#white 196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2시즌|{{{#white 196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3시즌|{{{#white 1963년}}}]]''' || ||<rowbgcolor=#fff,#191919><|2> {{{#000000 제도 미시행}}}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반월(F1)|반월]]'''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쿠퍼(자동차)|쿠퍼]]''' [br] [[코벤트리 클라이맥스|{{{-2 클라이맥스}}}]]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BRM(F1)|BRM]]'''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코벤트리 클라이맥스|{{{-2 클라이맥스}}}]]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스털링 모스]]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토니 브룩스]]}}} || {{{-1 [[파일:UEFA AUS.png|width=15]] [[잭 브라밤]]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스털링 모스]] [br] [[파일:new-zea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브루스 맥라렌]]}}} || {{{-1 [[파일:UEFA AUS.png|width=15]] [[잭 브라밤]] [br] [[파일:new-zea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브루스 맥라렌]]}}} || {{{-1 [[파일:UEFA USA.png|width=15]] [[필 힐]] [br] [[파일:UEFA GER.png|width=15]] [[볼프강 폰 트립스|볼프강 폰 트립스]]}}}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그레이엄 힐]]}}}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짐 클락]]}}} || ||<#ff0000><width=10%> '''[[포뮬러 1/1964시즌|{{{#white 1964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5시즌|{{{#white 1965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6시즌|{{{#white 196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7시즌|{{{#white 196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8시즌|{{{#white 196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69시즌|{{{#white 196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0시즌|{{{#white 1970년}}}]]''' || ||<rowbgcolor=#fff,#191919>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2 [[코벤트리 클라이맥스|클라이맥스]]}}}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브라밤]]''' [br] {{{-2 [[렙코]]}}}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br] '''[[마트라#s-3.2.1]]'''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존 서티스]] MBE [br] [[파일:UEFA ITA.png|width=15]] [[로렌초 반디니]]}}}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짐 클락]] OBE}}} || {{{-1 [[파일:UEFA AUS.png|width=15]] [[잭 브라밤]]}}} || {{{-1 [[파일:new-zea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데니 흄]] [br] [[파일:UEFA AUS.png|width=15]] [[잭 브라밤]]}}}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그레이엄 힐]] [br] [[파일:switzer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요 지페르트]]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짐 클락]] OBE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재키 올리버]]}}}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재키 스튜어트]] [br] [[파일:UEFA FRA.png|width=15]] [[장피에르 벨투아즈]]}}} || {{{-1 [[파일:UEFA AUT.png|width=15]] † [[요헨 린트]][* 10라운드 이탈리아 GP 연습 주행 도중 사고로 사망] [br] [[파일:UEFA BRA.png|width=15]] [[에메르손 피티팔디]]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그레이엄 힐]]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존 마일스]]}}} || ||<#ff0000><width=10%> '''[[포뮬러 1/1971시즌|{{{#white 197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2시즌|{{{#white 197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3시즌|{{{#white 1973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4시즌|{{{#white 1974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5시즌|{{{#white 1975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6시즌|{{{#white 197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7시즌|{{{#white 1977년}}}]]''' || ||<rowbgcolor=#fff,#1919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티렐 레이싱|티렐]]'''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3>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재키 스튜어트]] [br] [[파일:UEFA FRA.png|width=15]] [[프랑수아 세베르]]}}} || {{{-1 [[파일:UEFA BRA.png|width=15]] [[에메르손 피티팔디]]}}} || {{{-1 [[파일:UEFA BRA.png|width=15]] [[에메르손 피티팔디]] [br] [[파일:UEFA SWE.png|width=15]] [[로니 피터슨]]}}} || {{{-1 [[파일:UEFA BRA.png|width=15]] [[에메르손 피티팔디]] [br] [[파일:new-zea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데니 흄]]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마이크 하일우드]] MBE}}} ||<-2> {{{-1 [[파일:UEFA AUT.png|width=15]] [[니키 라우다]] [br] [[파일:switzerland-flag-round-icon-256.png|width=15]] [[클레이 레가조니]]}}} || {{{-1 [[파일:UEFA AUT.png|width=15]] [[니키 라우다]] [br] [[파일:UEFA ARG.png|width=15]] [[카를로스 로이테만]]}}} || ||<#ff0000><width=10%> '''[[포뮬러 1/1978시즌|{{{#white 197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79시즌|{{{#white 197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0시즌|{{{#white 198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1시즌|{{{#white 198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2시즌|{{{#white 198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3시즌|{{{#white 1983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4시즌|{{{#white 1984년}}}]]''' || ||<rowbgcolor=#fff,#1919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br] {{{-2 [[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2 [[태그#s-8|TAG]]-[[포르쉐]]}}}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UEFA USA.png|width=15]] [[마리오 안드레티]] [br] [[파일:UEFA SWE.png|width=15]] † [[로니 피터슨]][* 14라운드 이탈리아 GP 레이스 도중 사고로 사망]}}} || {{{-1 [[파일:UEFA RSA.png|width=15]] [[조디 셱터]] [br]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15]] [[질 빌르너브]]}}} ||<-2> {{{-1 [[파일:UEFA AUS.png|width=15]] [[앨런 존스]] [br] [[파일:UEFA ARG.png|width=15]] [[카를로스 로이테만]]}}} || {{{-1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15]] † [[질 빌르너브]][* 5라운드 벨기에 GP에서 예선 도중 사고로 사망.] [br] [[파일:UEFA FRA.png|width=15]] [[디디에 피로니]] [br] [[파일:UEFA FRA.png|width=15]] [[패트릭 톰베이]] [br] [[파일:UEFA USA.png|width=15]] [[마리오 안드레티]]}}} || {{{-1 [[파일:UEFA FRA.png|width=15]] [[패트릭 톰베이]] [br] [[파일:UEFA FRA.png|width=15]] [[르네 아르누]]}}} || {{{-1 [[파일:UEFA FRA.png|width=15]] [[알랭 프로스트]] [br] [[파일:UEFA AUT.png|width=15]] [[니키 라우다]]}}} || ||<#ff0000><width=10%> '''[[포뮬러 1/1985시즌|{{{#white 1985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6시즌|{{{#white 198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7시즌|{{{#white 198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8시즌|{{{#white 198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89시즌|{{{#white 198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0시즌|{{{#white 199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1시즌|{{{#white 1991년}}}]]''' || ||<rowbgcolor=#fff,#1919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2 [[태그#s-8|TAG]]-[[포르쉐]]}}}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br] {{{-2 [[혼다]]}}} ||<-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2 [[혼다]]}}}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UEFA AUT.png|width=15]] [[니키 라우다]] [br] [[파일:UEFA FRA.png|width=15]] [[알랭 프로스트]]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존 왓슨(F1 드라이버)|존 왓슨]]}}}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나이젤 만셀]] [br] [[파일:UEFA BRA.png|width=15]] [[넬슨 피케]]}}}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나이젤 만셀]] [br] [[파일:UEFA BRA.png|width=15]] [[넬슨 피케]] [br] [[파일:UEFA ITA.png|width=15]] [[리카르도 파트레제]]}}} ||<-2> {{{-1 [[파일:UEFA FRA.png|width=15]] [[알랭 프로스트]] [br] [[파일:UEFA BRA.png|width=15]] [[아일톤 세나]]}}} ||<-2> {{{-1 [[파일:UEFA BRA.png|width=15]] [[아일톤 세나]] [br] [[파일:UEFA AUT.png|width=15]] [[게르하르트 베르거]]}}} || ||<#ff0000><width=10%> '''[[포뮬러 1/1992시즌|{{{#white 199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3시즌|{{{#white 1993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4시즌|{{{#white 1994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5시즌|{{{#white 1995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6시즌|{{{#white 199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7시즌|{{{#white 199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1998시즌|{{{#white 1998년}}}]]''' || ||<rowbgcolor=#fff,#191919><-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br] {{{-2 [[르노]]}}}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베네통 포뮬러|베네통]]''' [br] {{{-2 [[르노]]}}} ||<-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br] {{{-2 [[르노]]}}}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2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나이젤 만셀]] OBE [br] [[파일:UEFA ITA.png|width=15]] [[리카르도 파트레제]]}}}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데이먼 힐]] [br] [[파일:UEFA FRA.png|width=15]] [[알랭 프로스트]]}}}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데이먼 힐]] [br] [[파일:UEFA BRA.png|width=15]] † [[아일톤 세나]][* 3라운드 산 마리노 GP 레이스 도중 충돌로 사망.]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데이빗 쿨싸드]]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나이젤 만셀]] OBE}}} || {{{-1 [[파일:UEFA GER.png|width=15]] [[미하엘 슈마허]]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조니 허버트]]}}}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데이먼 힐]] [br]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15]] [[자크 빌르너브]]}}} || {{{-1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15]] [[자크 빌르너브]] [br] [[파일:UEFA GER.png|width=15]]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데이빗 쿨싸드]] [br] [[파일:UEFA FIN.png|width=15]] [[미카 해키넨]]}}} || ||<#ff0000><width=10%> '''[[포뮬러 1/1999시즌|{{{#white 199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0시즌|{{{#white 200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1시즌|{{{#white 200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2시즌|{{{#white 200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3시즌|{{{#white 2003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4시즌|{{{#white 2004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5시즌|{{{#white 2005년}}}]]''' || ||<rowbgcolor=#fff,#191919><-6>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br] '''[[르노 F1 팀|르노]]'''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UEFA GER.png|width=15]] [[미하엘 슈마허]]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에디 어바인]] [br] [[파일:UEFA FIN.png|width=15]] [[미카 살로]]}}} ||<-5> {{{-1 [[파일:UEFA GER.png|width=15]] [[미하엘 슈마허]] [br] [[파일:UEFA BRA.png|width=15]] [[루벤스 바리첼로]]}}} || {{{-1 [[파일:UEFA ESP.png|width=15]] [[페르난도 알론소]] [br] [[파일:UEFA ITA.png|width=15]]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 ||<#ff0000><width=10%> '''[[포뮬러 1/2006시즌|{{{#white 200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7시즌|{{{#white 200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8시즌|{{{#white 200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09시즌|{{{#white 2009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0시즌|{{{#white 201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1시즌|{{{#white 201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2시즌|{{{#white 2012년}}}]]''' || ||<rowbgcolor=#fff,#191919>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15]]]] [br] '''[[르노 F1 팀|르노]]''' ||<-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height=1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height=15]]]] [br] '''[[브런 GP|브런]]''' [br] {{{-2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 ||<-3>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br]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br] {{{-2 [[르노]]}}}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UEFA ESP.png|width=15]] [[페르난도 알론소]] [br] [[파일:UEFA ITA.png|width=15]]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2> {{{-1 [[파일:UEFA FIN.png|width=15]] [[키미 래이쾨넨]] [br] [[파일:UEFA BRA.png|width=15]] [[펠리페 마싸]]}}} ||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젠슨 버튼]] [br] [[파일:UEFA BRA.png|width=15]] [[루벤스 바리첼로]]}}} ||<-3> {{{-1 [[파일:UEFA GER.png|width=15]] [[제바스티안 페텔]] [br] [[파일:UEFA AUS.png|width=15]] [[마크 웨버]]}}} || ||<#ff0000><width=10%> '''[[포뮬러 1/2013시즌|{{{#white 2013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4시즌|{{{#white 2014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5시즌|{{{#white 2015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6시즌|{{{#white 2016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7시즌|{{{#white 2017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8시즌|{{{#white 2018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19시즌|{{{#white 2019년}}}]]''' || ||<rowbgcolor=#fff,#191919>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br]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br] {{{-2 [[르노]]}}} ||<-6> [[독일|[[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br]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메르세데스]]'''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UEFA GER.png|width=15]] [[제바스티안 페텔]] [br] [[파일:UEFA AUS.png|width=15]] [[마크 웨버]]}}} ||<-3>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루이스 해밀턴 MBE]] [br] [[파일:UEFA GER.png|width=15]] [[니코 로즈버그]]}}} ||<-3>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루이스 해밀턴 MBE]] [br] [[파일:UEFA FIN.png|width=15]] [[발테리 보타스]]}}} || ||<#ff0000><width=10%> '''[[포뮬러 1/2020시즌|{{{#white 2020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21시즌|{{{#white 2021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22시즌|{{{#white 2022년}}}]]''' ||<#ff0000><width=10%> '''[[포뮬러 1/2023시즌|{{{#white 2023년}}}]]''' ||<#ff0000><-3> || ||<-2><rowbgcolor=#fff,#191919> [[독일|[[파일:독일 국기.svg|height=15]]]] [br]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메르세데스]]''' ||<-2>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br]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br] {{{-2 [[HRC|RBPT]]}}} ||<|2><-3> [[FIA|[[파일:FIA 로고.svg|width=100]]]] [[파일:포뮬러 1 로고.svg|width=100]] || ||<rowbgcolor=#fff,#191919> {{{-1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루이스 해밀턴 MBE]] [br] [[파일:UEFA FIN.png|width=15]] [[발테리 보타스]] [br]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조지 러셀]]}}} || [[파일:영국 원형.png|width=15]] [[루이스 해밀턴 경]] [br] [[파일:UEFA FIN.png|width=15]] [[발테리 보타스]] ||<-2> {{{-1 [[파일:UEFA NED.png|width=15]] [[막스 베르스타펜]] [br] [[파일:UEFA MEX.png|width=15]] [[세르히오 페레스]]}}} || [각주]





3.2. 역대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원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00a19c,#5efffa ||<tablewidth=100%><tablebgcolor=#ff0000><width=12%> '''[[포뮬러 1/1950시즌|{{{#white 1950년}}}]]''' ||<width=12%> '''[[포뮬러 1/1951시즌|{{{#white 1951년}}}]]''' ||<width=12%> '''[[포뮬러 1/1952시즌|{{{#white 1952년}}}]]''' ||<width=12%> '''[[포뮬러 1/1953시즌|{{{#white 1953년}}}]]''' ||<width=12%> '''[[포뮬러 1/1954시즌|{{{#white 1954년}}}]]''' ||<width=12%> '''[[포뮬러 1/1955시즌|{{{#white 1955년}}}]]''' ||<width=12%> '''[[포뮬러 1/1956시즌|{{{#white 1956년}}}]]''' ||<width=12%> '''[[포뮬러 1/1957시즌|{{{#white 1957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UEFA ITA.png|width=20]] [br] [[주세페 파리나]] [br] [[알파 로메오 레이싱|알파 로메오]] || [[파일:UEFA ARG.png|width=20]] [br] [[후안 마누엘 판지오|후안 마누엘 [br] 판지오]] [br] [[알파 로메오 레이싱|알파 로메오]] ||<-2> [[파일:UEFA ITA.png|width=20]] [br] [[알베르토 아스카리]]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4> [[파일:UEFA ARG.png|width=20]] [br] [[후안 마누엘 판지오]] [br] [[마세라티]] (1954)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다임러-벤츠]] (1954~1955)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1956) | [[마세라티]] (1957) || || '''[[포뮬러 1/1958시즌|{{{#white 1958년}}}]]''' || '''[[포뮬러 1/1959시즌|{{{#white 1959년}}}]]''' || '''[[포뮬러 1/1960시즌|{{{#white 1960년}}}]]''' || '''[[포뮬러 1/1961시즌|{{{#white 1961년}}}]]''' || '''[[포뮬러 1/1962시즌|{{{#white 1962년}}}]]''' || '''[[포뮬러 1/1963시즌|{{{#white 1963년}}}]]''' || '''[[포뮬러 1/1964시즌|{{{#white 1964년}}}]]''' || '''[[포뮬러 1/1965시즌|{{{#white 1965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마이크 호손]]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2> [[파일:UEFA AUS.png|width=20]] [br] [[잭 브라밤]] [br] [[쿠퍼(자동차)|쿠퍼]]-[[코벤트리 클라이맥스|클라이맥스]] || [[파일:UEFA USA.png|width=20]] [br][[필 힐]]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그레이엄 힐]] [br] [[BRM(F1)|오언-BRM]]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짐 클락]]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 [[코벤트리 클라이맥스|클라이맥스]]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존 서티스]] MBE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짐 클락]] OBE [br] [[로터스 F1 팀|로터스]] [br] - [[코벤트리 클라이맥스|클라이맥스]] || || '''[[포뮬러 1/1966시즌|{{{#white 1966년}}}]]''' || '''[[포뮬러 1/1967시즌|{{{#white 1967년}}}]]''' || '''[[포뮬러 1/1968시즌|{{{#white 1968년}}}]]''' || '''[[포뮬러 1/1969시즌|{{{#white 1969년}}}]]''' || '''[[포뮬러 1/1970시즌|{{{#white 1970년}}}]]''' || '''[[포뮬러 1/1971시즌|{{{#white 1971년}}}]]''' || '''[[포뮬러 1/1972시즌|{{{#white 1972년}}}]]''' || '''[[포뮬러 1/1973시즌|{{{#white 1973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UEFA AUS.png|width=20]] [br] [[잭 브라밤]] [br] [[브라밤|브라밤]]-[[쿠퍼(자동차)|쿠퍼]] || [[파일:new-zealand-flag-round-icon-256.png|width=20]] [br] [[대니 흄]] [br] [[브라밤|브라밤]]-[[쿠퍼(자동차)|쿠퍼]]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그레이엄 힐]] [br] [[로터스 F1 팀|로터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재키 스튜어트]] [br] [[티렐 레이싱|마트라]]-[[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AUT.png|width=20]] [br] † [[요헨 린트]][* 10라운드 이탈리아 GP 연습 주행 도중 사고로 사망] [br] [[로터스 F1 팀|로터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재키 스튜어트]] [br] [[티렐 레이싱|티렐]]-[[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BRA.png|width=20]] [br] [[에메르손 피티팔디|에메르손 [br] 피티팔디]] [br] [[로터스 F1 팀|로터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재키 스튜어트]] OBE [br] [[티렐 레이싱|티렐]]-[[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 '''[[포뮬러 1/1974시즌|{{{#white 1974년}}}]]''' || '''[[포뮬러 1/1975시즌|{{{#white 1975년}}}]]''' || '''[[포뮬러 1/1976시즌|{{{#white 1976년}}}]]''' || '''[[포뮬러 1/1977시즌|{{{#white 1977년}}}]]''' || '''[[포뮬러 1/1978시즌|{{{#white 1978년}}}]]''' || '''[[포뮬러 1/1979시즌|{{{#white 1979년}}}]]''' || '''[[포뮬러 1/1980시즌|{{{#white 1980년}}}]]''' || '''[[포뮬러 1/1981시즌|{{{#white 1981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UEFA BRA.png|width=20]] [br] [[에메르손 피티팔디|에메르손 [br] 피티팔디]]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AUT.png|width=20]] [br] [[니키 라우다]]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제임스 헌트]]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AUT.png|width=20]] [br] [[니키 라우다]]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UEFA USA.png|width=20]] [br] [[마리오 안드레티]] [br] [[로터스 F1 팀|로터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RSA.png|width=20]] [br] [[조디 셱터]]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UEFA AUS.png|width=20]] [br] [[앨런 존스]]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BRA.png|width=20]] [br] [[넬슨 피케]] [br] [[브라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 '''[[포뮬러 1/1982시즌|{{{#white 1982년}}}]]''' || '''[[포뮬러 1/1983시즌|{{{#white 1983년}}}]]''' || '''[[포뮬러 1/1984시즌|{{{#white 1984년}}}]]''' || '''[[포뮬러 1/1985시즌|{{{#white 1985년}}}]]''' || '''[[포뮬러 1/1986시즌|{{{#white 1986년}}}]]''' || '''[[포뮬러 1/1987시즌|{{{#white 1987년}}}]]''' || '''[[포뮬러 1/1988시즌|{{{#white 1988년}}}]]''' || '''[[포뮬러 1/1989시즌|{{{#white 1989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UEFA FIN.png|width=20]] [br] [[케케 로즈버그]]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UEFA BRA.png|width=20]] [br] [[넬슨 피케]] [br] [[브라밤]]-[[BMW]] || [[파일:UEFA AUT.png|width=20]] [br] [[니키 라우다]]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 [[태그#s-8|TAG]]-[[포르쉐]] ||<-2> [[파일:UEFA FRA.png|width=20]] [br] [[알랭 프로스트]]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태그#s-8|TAG]]-[[포르쉐]] || [[파일:UEFA BRA.png|width=20]] [br] [[넬슨 피케]]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혼다]] || [[파일:UEFA BRA.png|width=20]] [br] [[아일톤 세나]]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혼다]] || [[파일:UEFA FRA.png|width=20]] [br] [[알랭 프로스트]]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혼다]] || || '''[[포뮬러 1/1990시즌|{{{#white 1990년}}}]]''' || '''[[포뮬러 1/1991시즌|{{{#white 1991년}}}]]''' || '''[[포뮬러 1/1992시즌|{{{#white 1992년}}}]]''' || '''[[포뮬러 1/1993시즌|{{{#white 1993년}}}]]''' || '''[[포뮬러 1/1994시즌|{{{#white 1994년}}}]]''' || '''[[포뮬러 1/1995시즌|{{{#white 1995년}}}]]''' || '''[[포뮬러 1/1996시즌|{{{#white 1996년}}}]]''' || '''[[포뮬러 1/1997시즌|{{{#white 1997년}}}]]''' || ||<rowbgcolor=#fff,#191919><-2> [[파일:UEFA BRA.png|width=20]] [br] [[아일톤 세나]] [br] [[맥라렌 F1 팀|맥라렌]]-[[혼다]]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나이젤 만셀]] OBE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르노]] || [[파일:UEFA FRA.png|width=20]] [br] [[알랭 프로스트]]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르노]] ||<-2> [[파일:UEFA GER.png|width=20]] [br] [[미하엘 슈마허]] [br] [[베네통]]-[[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데이먼 힐]]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르노]] ||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20]] [br] [[자크 빌르너브]] [br]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르노]] || || '''[[포뮬러 1/1998시즌|{{{#white 1998년}}}]]''' || '''[[포뮬러 1/1999시즌|{{{#white 1999년}}}]]''' || '''[[포뮬러 1/2000시즌|{{{#white 2000년}}}]]''' || '''[[포뮬러 1/2001시즌|{{{#white 2001년}}}]]''' || '''[[포뮬러 1/2002시즌|{{{#white 2002년}}}]]''' || '''[[포뮬러 1/2003시즌|{{{#white 2003년}}}]]''' || '''[[포뮬러 1/2004시즌|{{{#white 2004년}}}]]''' || '''[[포뮬러 1/2005시즌|{{{#white 2005년}}}]]''' || ||<rowbgcolor=#fff,#191919><-2> [[파일:UEFA FIN.png|width=20]] [br] [[미카 해키넨]]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 ||<-5> [[파일:UEFA GER.png|width=20]] [br] [[미하엘 슈마허]]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UEFA ESP.png|width=20]] [br] [[페르난도 알론소]] [br] [[르노 F1 팀|르노]] || || '''[[포뮬러 1/2006시즌|{{{#white 2006년}}}]]''' || '''[[포뮬러 1/2007시즌|{{{#white 2007년}}}]]''' || '''[[포뮬러 1/2008시즌|{{{#white 2008년}}}]]''' || '''[[포뮬러 1/2009시즌|{{{#white 2009년}}}]]''' || '''[[포뮬러 1/2010시즌|{{{#white 2010년}}}]]''' || '''[[포뮬러 1/2011시즌|{{{#white 2011년}}}]]''' || '''[[포뮬러 1/2012시즌|{{{#white 2012년}}}]]''' || '''[[포뮬러 1/2013시즌|{{{#white 2013년}}}]]''' || ||<rowbgcolor=#fff,#191919> [[파일:UEFA ESP.png|width=20]] [br] [[페르난도 알론소]] [br] [[르노 F1 팀|르노]] || [[파일:UEFA FIN.png|width=20]] [br] [[키미 래이쾨넨]] [br]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루이스 해밀턴|루이스 해밀턴 {{{-1 경}}}]] [br] [[맥라렌 F1 팀|맥라렌]] [br] - [[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젠슨 버튼]] [br] [[브런 GP|브런]]-[[메르세데스-벤츠|메르세데스]] ||<-4> [[파일:UEFA GER.png|width=20]] [br] [[제바스티안 페텔]] [br] [[레드불 레이싱|레드불]]-[[르노 스포트|르노]] || || '''[[포뮬러 1/2014시즌|{{{#white 2014년}}}]]''' || '''[[포뮬러 1/2015시즌|{{{#white 2015년}}}]]''' || '''[[포뮬러 1/2016시즌|{{{#white 2016년}}}]]''' || '''[[포뮬러 1/2017시즌|{{{#white 2017년}}}]]''' || '''[[포뮬러 1/2018시즌|{{{#white 2018년}}}]]''' || '''[[포뮬러 1/2019시즌|{{{#white 2019년}}}]]''' || '''[[포뮬러 1/2020시즌|{{{#white 2020년}}}]]''' || '''[[포뮬러 1/2021시즌|{{{#white 2021년}}}]]''' || ||<rowbgcolor=#fff,#191919><-2>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루이스 해밀턴|루이스 해밀턴 {{{-1 경}}}]] [br]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메르세데스]] || [[파일:UEFA GER.png|width=20]] [br] [[니코 로즈버그]] [br]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메르세데스]] ||<-4>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 [br] [[루이스 해밀턴 MBE]] [br]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메르세데스]] || [[파일:UEFA NED.png|width=20]] [br] [[막스 베르스타펜]] [br] [[레드불 레이싱 혼다|레드불]]-[[혼다]] || || '''[[포뮬러 1/2022시즌|{{{#white 2022년}}}]]''' || '''[[포뮬러 1/2023시즌|{{{#white 2023년}}}]]''' ||<-6> || ||<rowbgcolor=#fff,#191919><-2> [[파일:UEFA NED.png|width=20]] [br] [[막스 베르스타펜]] [br]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6> [[FIA|[[파일:FIA 로고.svg|width=100]]]] [[파일:포뮬러 1 로고.svg|width=100]] || [각주]





4. 역사[편집]


파일:grandprix1.jpg

F1은 그 기원이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통칭 '그랑프리 레이스'를 시작으로, 직접적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까지 열렸던 일련의 자동차 경주를 계승하고 있다. 당시 그랑프리 레이스는 국가 대항전의 성격으로 각 국가의 자동차 제작사들이 참가하여 일련의 통일된 자동차 규격과 경주장 규격을 정하고 경기를 치렀는데, 이때 바퀴가 노출되어 있는 1인승 경주차[40]와 시작점과 마침점이 연결되어 있는 서킷의 개념이 확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IA가 월드 챔피언십으로 계획하여 1950년 영국의 실버스톤을 시작으로 7번의 라운드로 구성된 첫 시즌으로 시작되었다.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십은 처음부터 시상되었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은 8년 후에 신설되었다. 처음에는 유럽 대륙과 미국을 가끔씩 오가는 정도였지만, 72년이 지난 지금은 아프리카를 제외한[41] 전 세계 모든 대륙의 국가를 순회하며 약 24개의 그랑프리를 치른다.[42] 2019년에는 제3라운드 중국 그랑프리에서 70시즌 만에 1000번째 그랑프리가 열렸고 2020년에는 개최 7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국에서 70주년 그랑프리가 열리기도 했다.

파일:포뮬러 1 로고(1985~1986).png파일:포뮬러 1 로고(1987~2001).png파일:attachment/포뮬러 1/logo.jpg
1985~19861987~20031994~2017년까지 쓰였던 구 로고[43]

F1의 로고는 그 명성에 걸맞지 않게 로고가 초기부터 존재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최초의 로고 또한 1985년부터 생겨나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FIA는 1994년부터 2003년까지는 2번째와 3번째로 바뀐 로고를 혼재해서 사용하였다. 아일톤 세나와 나이젤 만셀, 게르하르트 베르거 등이 활동하던 예전 경기 영상에서 2번째 로고가 자주보이는 이유이다.

70-90년대에 스포츠가 세계적으로 뻗어나가기 전에는 흔히 '레이싱' 하면 생각나는, 남자의 로망을 자극하는 상남자 스포츠였으나,[44] 에클레스톤 등이 이끈 F1의 세계화와 상업화 이후 그런 이미지는 없어지게 되었다. 때문에 20세기 시절의 F1을 추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리버티 미디어의 F1 인수 이후에는 더욱 엔터테인먼트 쪽으로 크게 발전하여 F1 공식 유튜브 채널과 넷플릭스 시리즈를 통해 접근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2017년 전체 팬의 8%만 여성이였지만 2022년에는 40%까지 비중이 늘었다.



5. 그랑프리 진행[편집]


F1 그랑프리(Grand Prix)는 목요일 기자 회견(프레스 컨퍼런스)을 시작으로 금요일 연습주행(프리 프랙티스)[45], 토요일 예선(퀄리파잉), 일요일 결승(레이스)을 순서로 그랑프리가 진행된다.

대회는 경주차와 선수를 동시에 관리하기 때문에 각 세션을 전후로 엄격한 검사를 시행하는데, 경주차의 경우 정해진 검차 과정이 있으며[46] 드라이버들도 엄격한 도핑검사와 체중검사를 받는다. 특히 검차 이후 차량에 추가적인 조작을 막기 위해[47] 파크 페르메(parc fermé)라는 강력히 보안되는 보관 구역이 존재하는데, 모든 F1 경주차들은 세션 전후로 이 파크 페르메에 보관되어 있다가 세션이 시작될 때 해방된다.


5.1. 목요일 - 기자회견[편집]


파일:120CF3E0-0D04-41C8-87BC-CDDB58F2AF40.jpg
파일:0C6D7D32-E458-420D-8F75-BB1965FEFACC.jpg
2016년까지 쓰였던 방식

파일:D136BA79-3537-4CF0-AFE9-642901DA9DC8.jpg
파일:CFFF22A9-FE25-4F11-9DC6-BE8455FC7CB9.jpg
2019년까지 쓰였던 방식

파일:25579CDD-3D63-4E9E-9F9E-929360D9CC8F.jpg
파일:B420B59C-054D-466F-9B29-CCB63F358362.jpg
2022년까지 쓰였던 방식

파일:IMG_3037.jpg
파일:IMG_3038.jpg
2023년부터 쓰이는 방식

기자회견(Press Conference)

포뮬러 원은 수요일까지 서킷에 도착해 화물을 운반하고 목요일부터 그랑프리의 공식일정을 시작한다. 이 때 팀들은 를 조립하고 검차를 받으며, 피트스탑 연습을 하거나 트랙 워킹[48]을 한다. 공식적인 기자회견[49] 팬 싸인회 같은 홍보 일정 또한 이 날 수행하게 된다. 모나코 그랑프리는 예외적으로 수요일에 이 일정을 수행하고 목요일에 연습주행, 금요일은 건너뛰고 토요일부터 정상적으로 예선을 실시한다.

기자회견은 목요일과 경기 후에도 진행하는데, 목요일에 하는 기자회견은 모든 팀의 드라이버가 대부분 참여하게끔 되어 있다.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모든 드라이버들이 5~6명씩 다 섞여서 랜덤으로 진행되었는데, 2020년부턴 2명씩 섞어서 진행한다. 팀의 감독들도 기자회견을 하며 감독들도 감독들끼리 섞여서 진행한다. 그리고 기존에 있던 단상이 사라지고 마이크 지지대가 놓여지게 되었다.[50]


5.2. 금요일 - 1, 2차 연습주행[편집]


파일:2022 바레인 FP2 노리스.png
연습주행 (Free Practice)

금요일부터 공식 연습주행이 실시된다. 연습주행이란 말 때문에 별로 안 중요한 것 같지만 매우 중요하다. 연습주행 망치면 눈덩이 굴러가듯이 퀄리파잉과 본선 레이스를 망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연습주행 세션에서 비가 왔는데 정작 예선날 햇빛이 쨍쨍해진다면 대다수 팀들은 말 그대로 돌아버린다. 퀄리파잉과 본선레이스도 비가 와서 같은 날씨라면 별로 상관이 없지만 만약에 노면이 마른 상황이 되면 여기에 맞춘 데이터와 셋업이 없으므로 결국 누적 데이터가 많은 팀이 유리해진다. 여기서 팀이 얼마나 오랫동안 F1에 있었느냐에 따른 격차가 어마무시하게 벌어지는 것. 거기에 굵직한 규정 변경이 있었다면 연습주행은 더욱 중요해지는데, 대표적으로 2014년 사용이 강제된 1.6L V6 싱글터보 엔진이나 KERS 등이 있다. 이런 장비들도 각 서킷에서 노하우를 축적해야 하니 연습주행은 소규모의 시험주행으로도 볼 수 있다.

연습주행은 각 세션을 나눠 금요일에 FP1, FP2가 진행되고, 토요일에는 퀄리파잉 수 시간 전에 FP3가 진행된다.[51] 세부적인 진행은 각팀들마다 다르지만 보통 각 세션마다 진행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금요일 60분 동안 진행. 각팀은 서킷에 오기 전 분석하고 점검했던 사항과 정보를 정리하고 드라이버들이 직접 주행하면서 나온 데이터를 같이 비교한다. 이러면 거의 대다수는 맞지가 않는다.[52] 그래서 이걸 수정하는 것이 연습주행 세션이다.
그리고 퀄리파잉을 위한 숏런 시뮬레이션과 본선 레이스를 위한 롱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레이스카 셋업의 기반을 다진다. 특히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파츠들을 테스트하기도 하고, 리저브 드라이버나 F1 데뷔를 앞두고 있는 영 드라이버들이 주행을 하기도 한다. 이때 드라이버들의 피드백도 굉장히 중요하다. 모든 걸 엔지니어들이 해줄 수 없기에 드라이버들이 주행한 느낌과 문제점을 알려주어서 레이스 카를 드라이버에 철저히 맞추어야 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팀들은 드라이버 라인업을 짤 때 한 명은 베테랑 드라이버, 다른 한 명은 페이 드라이버로 앉히는 것이 보통이고, 중상위권 팀들은 돈은 충분하니 성적을 위해 기량이 확실한 드라이버 두 명을 모두 앉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금요일 60분 동안 진행. FP1에서 다듬은 셋업을 바탕으로 단단한 타이어와 부드러운 타이어를 모두 사용해 퀄리파잉과 본선 레이스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FP2가 끝나면 셋업한 것을 서면으로 제출하고, 이후에는 지정된 것 이외에는 추가적인 셋업이 불가능해진다.
FP2와 FP3에서 레이스 타이어 전략이 결정되므로 각 팀 전략 담당 엔지니어들이 촉각을 곤두세운다. 또한 만약 퀄리파잉이 연기되고 일요일 아침에도 일정상의 문제로 열리지 못했다면, FP2의 기록으로 그리드가 정해진다.

토요일 60분 동안 진행. 이전 연습주행을 통해 셋업의 대부분이 완성되었고, 이제는 건드릴 수 있는 셋업만 다시 건드려서 레이스카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놓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잠시 후에 있을 퀄리파잉에 초점을 두어서 주행을 한다.

연습주행에서 기록된 랩타임은 경기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목표로 한 랩타임이 나오지 않으면 이것저것 수정할 게 많아지므로 연습주행 세션 전체에 주어지는 시간이 정말 부족하다.

사실 연습주행은 규정 책자를 보고 직접 가서 보지 않는 한, 관련 정보를 얻기가 매우 힘들다. 그나마 F1이 대회의 규모 자체가 매우 크다 보니 중계 방송으로 틀어주기도 하지만[53] 나머지 모터스포츠 대회들은 퀄리파잉까지는 해줘도 연습주행 중계 방송을 많이 거르는 편이다.


5.3. 토요일 - 3차 연습주행 및 퀄리파잉(예선)[편집]


파일:2023 바레인 퀄리.png
퀄리파잉 (Qualifying)

토요일 오전에 FP3가 진행되고, 오후에 공식 퀄리파잉이 실시된다. 악천후 등을 이유로 취소될 경우, 금요일 FP2의 기록을 기준으로 하거나 일요일 오전에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예선 결과에 따라 서킷 맨 앞부터 차례로 그리드를 배정받기 때문에 예선 또한 매우 중요하다.[54] 2006년부터 총 1시간 동안 Q1, Q2, Q3로 진행되고[55], 각 세션은 18분, 15분, 12분으로 도합 45분 동안 진행된다.

엔트리되는 경주차 모두 정해진 시간 동안 자유롭게 서킷을 돌아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하면 그걸 기준으로 한다. 도전 횟수는 제한 시간 내라면 몇 번이 되든 상관 없다. 즉, 한 번만 시도해도 되고 아예 시도하지 않아도 된다. Q1에서 5명, Q2에서 5명을 탈락시키며, 탈락된 참가자는 그 세션의 기록 순서대로 그리드를 배정받게 된다. 남은 10대의 경주차들이 Q3를 치르게 되는데, 여기서 예선 1위인 폴 포지션과 탑 10의 출발순서가 정해진다. 각 세션이 끝날 때마다 체커드 플래그가 등장하며 체커드 플래그를 받기 전 시작된 랩 측정은 유효하다.[56] 폴 포지션은 레이스 시작 때 맨 앞에 설 수 있으며 맨 앞쪽 그리드가 왼쪽에 있을지 오른쪽에 있을지는 서킷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다. 이후 나머지 차량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그리드가 배치. 그렇게 해서 정리하자면,


이 되는 것이다. 한 랩의 랩타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소프트 타이어를 사용해 예선을 치른다. 여기에 하나의 변수가 있는데, Q3 진출자에 한해, Q2 최고 랩타임을 기록한 타이어로 레이스 스타트를 해야 한다는 일종의 핸디캡 규정이 있었다.[57] 새 타이어가 아닌 아웃 랩[58]-플라잉 랩[59]-인 랩[60]의 최소 3랩을 소화한 타이어로 출발하는 것부터 첫 스틴트가 3랩 짧아진다는 것이고, 거기에 스타트 타이어를 자유롭게 고를 수 없는 어려움도 추가된다. 대부분의 레이스는 일반적으로 2스탑 정도면 충분하기에, 소프트 타이어의 수명이 너무 짧다고 예상되는 경우 Q3 진출에 여유가 있는 상위권 팀은 미디엄 타이어로 트라이하는 경우가 많다. 소프트와 미디엄의 랩타임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상위권의 미디엄 랩타임보다 중위권의 소프트 랩타임이 더 잘 나와 막판에 서둘러 소프트로 다시 트라이하는 일도 있다. 이렇게 Q2에서 타이어 전략을 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이다.

하지만 2022년 시즌부터는 이 타이어 핸디캡 규정이 삭제되어 모든 팀들이 소프트 타이어로 퀄리파잉을 치르고 있다.

퀄리파잉이 진행되는 방송 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표시되는 것들은 드라이버가 기록한 시간이다. 각 섹터(Sector, 구간)별로 Sector 1(S1)부터 S2, S3까지 나타나는데, 좌측에는 드라이버의 시간을, 우측에는 다른 드라이버의 시간을 알려준다. 드라이버 이름 우측에는 타이어의 종류(소프트, 미디엄, 하드, 인터미디어트[61], 웻[62] 등등)를 나타내고, 그 아래에는 시간이 빠른지 느린지 색상으로 표시가 되는데, 노란색은 이전 기록보다 더 느린 상태를, 초록색은 이전에 기록한 시간보다 빠른 상태를, 보라색은 전체 인원 중에서 가장 빠른 상태를 나타낸다.

노란색
초록색
보라색
이전 기록보다 더 느린 상태
이전 기록보다 더 빠른 상태
전체에서 가장 빠른 상태

예선이 종료되면, 예선 결과를 보고 추가적인 셋업을 맞추는 걸 방지하기 위해 모든 경주차들은 대개 피트 레인에 위치한 파크 페르메(Parc fermé)[63] 안에 보관되어 검차를 받게 된다. 검차 결과에서 규정에 맞지 않거나 규정에서 정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부분이 발견되면 예선 결과가 무효 처리된다. 또한 예선 이전이나 이후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엔 파츠 규정에 따라 그리드가 뒤로 밀리거나 피트 레인 스타트[64]를 하게 된다.


5.4. 일요일 - 레이스[편집]


파일:2023 바레인 햄알 배틀.png
본선전 (Race)

그리드 앞에 모든 드라이버가 모이고, 그랑프리를 개최하는 나라의 국가가 엄숙하게 제창된다. 그리드 위에 도열한 각 경주차들은[65] 폴 포지션을 차지한 드라이버의 인도 아래 포메이션 랩을 돈다. 그 동안 경주차들은 이리저리 움직이며 타이어와 브레이크 등을 경기에 최적화된 온도로 맞춘 이후, 그리드에 1등부터 20등까지 나란히 도열한 다음에 그리드 후방에서 녹색기가 나오면 5개의 빨간 불이 차례로 켜지고 모두 꺼진 즉시 동시에 출발한다.[66][67]

각 차량들은 약 300km 내외를 주행하는데, 적게는 44랩[벨기에] 많게는 78랩[모나코][68]을 주행하게 된다. 결승 레이스는 자유 경쟁이며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앞 차를 추월해야 한다. 1위 경주차가 정해진 랩수를 다 돌면 마지막 랩에 결승선 앞에 체커드 플래그가 등장하고, 마지막 랩을 돌고 체커드 플래그를 받으면 경기가 종료. 이때 1랩 뒤쳐져 있던 백마커도 체커를 받으면 그 순위가 확정된다.

그러나 FIA에서 스프린트 레이스는 2시간 이내로 끝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에 악천후, 사고 처리 등으로 2시간이 넘어갈 기미가 보이면 랩 카운터가 꺼지고 2시간 카운트다운을 시작한다. 이 때 시간이 0이 되면 이게 파이널 랩이 되고, 체커기가 등장한다. 단 이 2시간은 레드 플랙을 제외한 시간이며, 레드 플래그 포함한 제한 시간은 3시간이다.

이후 모든 경주차들은 1랩을 돌아 파크 페르메에 주차되는 한편, 시상대에서는 드라이버의 국가와 팀의 국가가 연주된 후 트로피 증정과 샴페인 세리머니를 진행하는 것으로 공식 일정은 마무리된다. 이후부터는 자유 시간이라 그냥 바로 퇴근하거나, 각종 기자회견을 하거나, 각 팀별로 그날의 리플레이를 보며 다음 경기를 준비하거나 하는 식으로 그랑프리 하나가 끝난다. 트로피 수상자 한정으로 조촐하게 파티를 열기도 한다는 듯.

보통은 바로 장비를 포장하고 레이스카를 해체해 수화물로 운송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간다. 보통 레이스가 2주 간격으로 있거나 빡빡할 땐 바로 다음 주에 있기 때문에 수요일까지 그랑프리가 열리는 지역에 도착하기 위해선 일정이 매우 빠듯한 편이다. 특히 유럽 대륙에서 그랑프리가 많이 모여 있는 경우, F1 팀들은 장비를 트럭으로 운송하므로 1주일이라는 시간은 매우 적은 시간이다.

레이스가 전체의 75% 이상이 진행된 상황에서 중단된 경우 순위에 따른 포인트를 온전히 다 주지만, 제한시간에 걸리는 등 75% 미만이 진행된 상황에서 중단된 경우 순위에 따른 포인트를 반만 획득한다. 역대 순위에 따른 점수 부여 방식은 아래와 같다.

연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패스티스트랩
1950년~'59년8점6점4점3점2점1점[69]
1960년8점6점4점3점2점1점
1961년9점(개인)
8점(팀)
6점4점3점2점1점
'62년~'90년9점6점4점3점2점1점
'91년~2002년10점6점4점3점2점1점
'03년~'09년10점8점6점5점4점3점2점1점
'10년~'18년25점18점15점12점10점8점6점4점2점1점
'19년~현재25점18점15점12점10점8점6점4점2점1점1점[70]


6. 개최 장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서킷(모터스포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기가 열리는 장소(서킷)의 전체 주행 거리에 관한 규정은 역사적으로 다르게 변해왔다.

1950년에서 1957년까지는 300km 이상, 또는 3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1958년에는 300~500km(190~310mi) 또는 2시간 사이로 설정됐다.1966년부터는 300~400km(190~250mi)로 줄었고, 1971년에는 주행 거리가 321.87km(200mi)로 정해졌다. 이후 1973년부터 1980년까지도 321.87km(200.00mi) 또는 2시간 정도 주행하는 것으로 정해졌으며 1981년부터 1984년까지 250~320km(160~200mi) 또는 2시간 거리로 바뀌었다. 1984년에는 포메이션 랩을 포함해 최소 거리가 300km(190mi 정도)로 개정됐고 1989년부터 주행 거리가 305km(190mi)로 표준화됐다. 여기서 모나코 그랑프리는 예외적으로 최소 260km(160mi)의 길이로 정해졌지만 어떤 경주도 중간에 진행이 중단된다면 2시간 이상 지속될 수 없다. 2012년부터는 다시 규정이 바뀌어 경기 중단 가능성을 포함해 최대 허용 시간이 4시간이었으나 2021년부터 다시 3시간으로 줄었다.

영국과 이탈리아는 F1 월드 챔피언십 대회 개최를 횟수로 따지면 각각 72번, 71번 개최한 적이 있어 F1 월드 챔피언십에서 가장 많이 열리는 국가 1,2위를 다투며, 모나코 그랑프리가 이들 다음으로 67번 열렸고 모두 모나코 서킷에서 열려 왔다. 이탈리아의 몬자 서킷은 대회 개최 횟수가 70회로 모든 서킷 중 가장 많은 그랑프리를 개최했다. 모나코 서킷은 67번, 영국의 실버스톤 서킷은 56회로 3번째이다. 오스트리아, 바레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스페인, 영국, 미국은 모두 시즌 중 두 번 이상 그랑프리를 개최한 적이 있으며, 한 시즌에 세 번의 대회를 개최한 나라는 유이하게 미국(1982년, 2023년)과 이탈리아(2020년)만 진행하였다. 이탈리아는 1950년 첫 대회 이후 가장 많은 101번의 그랑프리를 개최했으며 가장 적은 그랑프리를 개최한 국가는 모로코가 1958년에 단 한 번 개최하였다. 1950년부터 1960년까지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 챔피언십 대회에 포함되었던 인디애나폴리스 500도 개최 경기에 들어 있으며 1946년부터 1983년까지 F1 규정에 따라 개최된 비챔피언십 그랑프리는 각각 영국 포뮬러 원 챔피언십과 남아프리카 포뮬러 원 챔피언십의 일부로 경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6.1. 역대 개최지[편집]


개최 국가개최 그랑프리(년도)개최 횟수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그랑프리(1962~1963, 1965, 1967~1980, 1982~1985, 1992~1993)23
네덜란드네덜란드 그랑프리(1952~1953, 1955, 1958~1971, 1973~1985, 2021~2023)33
독일독일 그랑프리(1951~1954, 1956~1959, 1961~2006, 2008~2014, 2016, 2018~2019)64도합 79
유럽 그랑프리(1984, 1995~1996, 1999~2007)12
룩셈부르크 그랑프리(1997~1998)2
아이펠 그랑프리(2020)1
대한민국한국 그랑프리(2010~2013)4
러시아러시아 그랑프리(2014~2021)8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그랑프리(1999~2017)19
모나코모나코 그랑프리(1950, 1955~2019, 2021~2023)69
모로코모로코 그랑프리(1958)1
미국인디 500(1950~1960)11도합 76
미국 그랑프리(1959~1980, 1989~1991, 2000~2007, 2012~2019, 2021~2023)44
미국 그랑프리 서부(1976~1983)8
시저스 팔라스 그랑프리(1981~1982)2
디트로이트 그랑프리(1982~1988)7
댈러스 그랑프리(1984)1
마이애미 그랑프리(2022~2023)2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2023)1
멕시코멕시코 그랑프리(1963~1970, 1986~1992, 2015~2019)20도합 23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2021~2023)3
바레인바레인 그랑프리(2004~2010, 2012~2023)19도합 20
사키르 그랑프리(2020)1
브라질브라질 그랑프리 (1973~2019)47도합 50
상파울루 그랑프리(2021~2023)3
벨기에벨기에 그랑프리(1950~1956, 1958, 1960~1968, 1970, 1972~2002, 2004~2005, 2007~2023)68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2021~2023)3
스위스스위스 그랑프리(1950~1954)5
스웨덴스웨덴 그랑프리(1973~1978)6
스페인스페인 그랑프리(1951, 1954, 1968~1979, 1981, 1986~2023)53도합 60
유럽 그랑프리(1994, 1997, 2008~2012)7
싱가포르싱가포르 그랑프리(2008~2019, 2022~2023)14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그랑프리(1953~1958, 1960, 1972~1975, 1977~1981, 1995~1998)20
아제르바이잔유럽 그랑프리(2016)1도합 7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2017~2019, 2021~2023)6
아랍 에미리트아부다비 그랑프리(2009~2023)15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그랑프리(1964, 1970~1987, 1997~2003, 2014~2023)36도합 38
스티리아 그랑프리(2020~2021)2
이탈리아이탈리아 그랑프리 (1950~2023)74도합 105
페스카라 그랑프리(1957)1
산 마리노 그랑프리(1981~2006)26
투스카니 그랑프리(2020)1
에밀리아 로마냐 그랑프리(2020~2022)3
영국영국 그랑프리(1950~2023)74도합 78
유럽 그랑프리(1983, 1985, 1993)3
F1 70주년 그랑프리(2020)1
인도인도 그랑프리(2011~2013)3
일본일본 그랑프리(1976~1977, 1987~2019, 2022~2023)37도합 39
태평양 그랑프리(1994~1995)2
중국중국 그랑프리(2004~2019)16
캐나다캐나다 그랑프리(1967~1974, 1976~1986, 1988~2008, 2010~2019, 2022~2023)52
카타르카타르 그랑프리(2021, 2023)2
터키터키 그랑프리(2005~2011, 2020, 2021)9
포르투갈포르투갈 그랑프리(1958~1960, 1984~1996, 2020~2021)18
프랑스프랑스 그랑프리 (1950~1954, 1956~2008, 2018~2019, 2021~2022)62도합 63
스위스 그랑프리(1982)1
헝가리헝가리 그랑프리(1986~2023)38
호주호주 그랑프리(1985~2019, 2022~2023)37

6.2. 역대 100*n번째 경기[편집]



7. F1 팀[편집]



7.1. 2024 시즌 F1 출전 팀 목록[편집]


||




7.2. 2024 시즌 F1 팀 감독 목록[편집]


파일:포뮬러 1 로고.svg2024 포뮬러 1
팀 감독
||
[ 펼치기 · 접기 ]


||<width=20%><tablewidth=100%><rowbgcolor=#fff>
파일:Oracle Red Bull Racing Logo.png
||<width=20%>
파일:Mercedes_F1.png
||<width=20%>
파일:DA497BC6-E8CF-4AFD-A4F1-2D4C160F7896.png
||<width=20%>
파일:Mclaren_F1.png
||
파일:D3702301-72FC-47F6-8AE1-AF72C7D21AC4.png
||
||
파일:영국 국기.svg 크리스티안 호너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토토 볼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데릭 바수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드레아 스텔라 ||
파일:독일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크렉 ||
||<rowbgcolor=#fff><width=20%>
파일:BWT 알핀 F1 팀 로고.svg
||
파일:Williams_F1.png
||
파일:알파타우리 로고.svg
|| ||
파일:c8kvR47C_400x400.jpg
||
||
파일:프랑스 국기.svg 브루노 파민임시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바울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랑 메키스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산드로 알루니 브라비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귄터 슈타이너 ||





7.3. 문서가 있는 (과거) F1 팀[편집]




7.4. 문서가 없는 F1 팀[편집]




8. 팀의 구성[편집]



8.1. 본부[편집]


파일:4E902EBC-5FBF-4AC7-90F3-4C1856CD1F7D.png
파일:7DD8A639-D141-441D-A828-F4EA8A78C3C7.png
서킷 별 경기 전략 정보 분석 및 연구카본 파츠 재단 및 부품 제조
파일:0915FF8E-1D2F-4F24-BAD4-5BF77A561468.png
파일:70B1D1D3-B7BB-4F88-B8A2-80AA07D8CA33.png
CAD로 각 파츠 설계부품 제조실[73]
다른 많은 전문 모터스포츠 카테고리들과 다르게, 각 F1 팀은 자체적인 차를 설계 및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팀마다 본부를 가지고 있고 이곳에서 해당 시즌의 규정을 바탕으로 해석해서 각 차의 섀시와 각종 부품들에 일련번호를 매겨 하나하나 분류하고 장착 및 탑재하여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낸다. 2020년대 기준으로 전체 10팀 중 7팀(페라리, 알파타우리, 알파 로메오 제외)이 영국에 본부를 위치해 두고 있다. 이는 뉴욕과 런던이 금융 중심지로, LA가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집결지로, IT 및 하이테크 기술 관련 기업들이 실리콘 밸리에 위치해 있는 것과 같은 이유에서 모터스포츠 엔지니어들의 출신 중 7~80%가 영국 출신이고 영국에서 대다수의 모든 경기가 열리기 때문이다.[74]

F1에서 설계는 시뮬레이션으로 구현되는 컴퓨터로 설계된다. 엔진과 고정 장치 등과 같은 간단한 부품을 제외하고 이 한 건물 내에서 부품이 만들어진다. 탄소 섬유는 재단돼서 주조된 형상에 올려진 다음 드라이버가 앉아 있는 터브(tub)를 다 덮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거대한 오토클레이브에서 압력을 가해 구워서 제조한다. 설계 사양은 CAD 등에서 설계한 7축 CNC 밀링 센터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자동차의 많은 복잡한 구성 요소를 조각, 드릴링 및 가공한다. 이 최첨단 작업에서도 차량 외관에 탑재되는 에어로 파츠와 같은 초정밀 부품의 경우에는 고도로 숙련된 전문 엔지니어들만이 수작업으로 부품을 제작한다.

각 팀에서 시즌 중 극비 데이터를 저장한 곳이나 중요한 시설로 간주되는 다른 여러 건물들은 방문객의 출입이 금지된다. 대표적으로 이런 건물에는 시즌 중 사용되는 차의 60% 정도로 축소된 1/2 또는 1/4, 1/6 풍동 시험 모델[75]들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풍동 시설이 있기 때문인데, 비용 상의 문제 등으로 참가하는 모든 팀이 그런 테스트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이 역시 주요 경쟁 수단으로 간주된다.


8.1.1. 드라이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드라이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포뮬러 1 로고.svg2024 포뮬러 1
참가 드라이버
||
[ 펼치기 · 접기 ]

#000 ||<tablewidth=100%><tablebgcolor=#f1f1f1,#000><bgcolor=#fff><width=20%>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파일:Oracle Red Bull Racing Logo.png|width=90%]]]]
||<bgcolor=#fff>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파일:Mercedes_F1.png|width=100%]]]]
||<bgcolor=#fff>
[[스쿠데리아 페라리|[[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width=30%]]]]
||<width=20%><bgcolor=#fff>
[[맥라렌 F1 팀|[[파일:Mclaren_F1.png|width=90%]]]]
||<bgcolor=#fff><width=20%>
[[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파일:D3702301-72FC-47F6-8AE1-AF72C7D21AC4.png|width=100%]]]]
|| ||<width=20%><#002147>[[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000>[[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EC302C>[[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EE9A17>[[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008275>[[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 || [* 차량][[레드불 레이싱 RB20|RB20]] || [[메르세데스-AMG F1 W15 E 퍼포먼스|F1 W15]] || [[미정]] || [[미정]] || [[애스턴 마틴 AMR24|AMR24]] || || [[파일:UEFA NED.png|width=20]][br]
'''{{{#fff VER}}}'''
[br]'''{{{#000,#fff No. 1}}}'''[br]⬛[* [[파일:63F4BD27-7615-4F80-8761-142A98194A5C.jpg|width=10%]] [[파일:6E6AC34A-0CEF-431F-B4AF-4F1FB6E17FB9.jpg|width=10%]] [br] 드라이버 이름 위의 정사각형은 각 선수들 차량의 카메라 팟 색상을 의미한다. 차량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F1에서 경험이 많고 성숙하며 나이가 더 많은 드라이버에게 검은색을 부여하고, F1이나 팀에 데뷔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예 드라이버들이 형광색을 주로 쓴다.][[막스 베르스타펜|{{{#000,#fff [br]'''막스[br]베르스타펜'''}}}]]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br]
'''{{{#fff RUS}}}'''
[br]'''{{{#000,#fff No. 63}}}'''[br][[조지 러셀|{{{#000,#fff ⬛[br]'''조지[br]러셀'''}}}]] || [[파일:모나코 원형 국기.svg|width=20]][br]
'''{{{#fff LEC}}}'''
[br]'''{{{#000,#fff No. 16}}}'''[br][[샤를 르클레르|{{{#000,#fff ⬛[br]'''샤를[br]르클레르'''}}}]] || [[파일:UEFA AUS.png|width=20]][br]
'''{{{#000 PIA}}}'''
[br]'''{{{#000,#fff No. 81}}}'''[br][[오스카 피아스트리|{{{#000,#fff ⬛[br]'''오스카[br]피아스트리'''}}}]] ||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width=20]][br]
'''{{{#fff STR}}}'''
[br]'''{{{#000,#fff No. 18}}}'''[br][[랜스 스트롤|{{{#000,#fff ⬛[br]'''랜스[br]스트롤'''}}}]] || || [[파일:UEFA MEX.png|width=20]][br]
'''{{{#fff PER}}}'''
[br]'''{{{#000,#fff No. 11}}}'''[br][[세르히오 페레스|{{{#000,#fff 🟨[br]'''세르히오[br]페레스'''}}}]]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br]
'''{{{#fff HAM}}}'''
[br]'''{{{#000,#fff No. 44}}}'''[br]🟨[* 해밀턴의 선택([[러시아 전쟁|우크라이나 지지]])에 의해 노란색 차량 번호와 함께 노란색 티캠을 선택함.] [[루이스 해밀턴|{{{#000,#fff [br]'''루이스[br]해밀턴 '''}}}]] || [[파일:UEFA ESP.png|width=20]][br]
'''{{{#fff SAI}}}'''
[br]'''{{{#000,#fff No. 55}}}'''[br][[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000,#fff 🟨[br]'''카를로스[br]사인츠 주니어'''}}}]] || [[파일:영국 원형.png|width=20]][br]
'''{{{#000 NOR}}}'''
[br]'''{{{#000,#fff No. 4}}}'''[br][[랜도 노리스|{{{#000,#fff 🟨[br]'''랜도[br]노리스'''}}}]] || [[파일:UEFA ESP.png|width=20]][br]
'''{{{#fff ALO}}}'''
[br]'''{{{#000,#fff No. 14}}}'''[br][[페르난도 알론소|{{{#000,#fff 🟨[br]'''페르난도[br]알론소'''}}}]] || ||<-5><#ff0000> || ||<bgcolor=#fff>
[[BWT 알핀 F1 팀|[[파일:BWT 알핀 F1 팀 로고.svg|width=80%]]]]
||<bgcolor=#fff>
[[윌리엄스 레이싱|[[파일:Williams_F1.png|width=100%]]]]
||<bgcolor=#fff>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미정]]
||<width=20%><bgcolor=#fff>
[[스테이크 F1 팀 킥 자우버|미정]]
||<#fff>
[[머니그램 하스 F1 팀|[[파일:c8kvR47C_400x400.jpg|width=50%]]]]
|| ||<width=20%><#187bcd>[[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0E277C>[[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23395d>[[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898989>[[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width=20%><#EBEBEB>[[파일:3B540902-3222-4554-8A74-CA2F9A7DD0F8.png|width=100%]]|| || [[알핀 A524|A524]] || [[윌리엄스 FW46|FW46]] || [[미정]] || [[킥 자우버 C44|C44]] || [[하스 VF-24|VF-24]] || || [[파일:UEFA FRA.png|width=20]][br]
'''{{{#fff OCO}}}'''
[br]'''{{{#000,#fff No. 31}}}'''[br][[에스테반 오콘|{{{#000,#fff ⬛[br]'''에스테반[br]오콘'''}}}]] || [[파일:UEFA THA.png|width=20]][br]
'''{{{#fff ALB}}}'''
[br]'''{{{#000,#fff No. 23}}}'''[br][[알렉산더 알본|{{{#000,#fff ⬛[br]'''알렉산더[br]알본'''}}}]] || [[파일:UEFA AUS.png|width=20]][br]
'''{{{#fff RIC}}}'''
[br]'''{{{#000,#fff No. 3}}}'''[br][[다니엘 리카도|{{{#000,#fff ⬛[br]'''다니엘[br]리카도'''}}}]] || [[파일:UEFA FIN.png|width=20]][br]
'''{{{#000 BOT}}}'''
[br]'''{{{#000,#fff No. 77}}}'''[br][[발테리 보타스|{{{#000,#fff ⬛[br]'''발테리[br]보타스'''}}}]] || [[파일:UEFA DEN.png|width=20]][br]
'''{{{#000 MAG}}}'''
[br]'''{{{#000,#fff No. 20}}}'''[br][[케빈 마그누센|{{{#000,#fff ⬛[br]'''케빈[br]마그누센'''}}}]] || || [[파일:UEFA FRA.png|width=20]][br]
'''{{{#fff GAS}}}'''
[br]'''{{{#000,#fff No. 10}}}'''[br][[피에르 가슬리|{{{#000,#fff 🟨[br]'''피에르[br]가슬리'''}}}]] || [[파일:UEFA USA.png|width=20]][br]
'''{{{#fff SAR}}}'''
[br]'''{{{#000,#fff No. 2}}}'''[br][[로건 사전트|{{{#000,#fff 🟨[br]'''로건[br]사전트'''}}}]] || [[파일:UEFA JPN.png|width=20]][br]
'''{{{#fff TSU}}}'''
[br]'''{{{#000,#fff No. 22}}}'''[br][[츠노다 유키|{{{#000,#fff 🟨[br]'''츠노다[br]유키'''}}}]] || [[파일:UEFA CHN.png|width=20]][br]
'''{{{#000 ZHO}}}'''
[br]'''{{{#000,#fff No. 24}}}'''[br][[저우관위|{{{#000,#fff 🟨[br]'''저우[br]관위'''}}}]] || [[파일:UEFA GER.png|width=20]][br]
'''{{{#000 HUL}}}'''
[br]'''{{{#000,#fff No. 27}}}'''[br][[니코 휠켄베르크|{{{#000,#fff 🟨[br]'''니코[br]휠켄베르크'''}}}]] || ||<-5><#ff0000> || ||<-5><bgcolor=#fff>
각주 [ 펼치기 · 접기 ]
[각주]
||





8.1.2. 스태프[편집]


파일:lotus-pit-wall.jpg

포뮬러 원은 레이스카를 직접 제작하고 누가 더 빠른 레이스카를 만드느냐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때문에 드라이버들뿐만 아니라 레이스카를 디자인하고 만드는 디자이너들과 엔지니어들 또한 굉장히, 아니 어쩌면 드라이버보다 더 중요하다.

F1은 규모가 굉장히 거대한 스포츠이기 때문에 투입되는 인원도 굉장히 많다. 메르세데스 같은 대규모의 팀은 약 1,600명 정도의 인원으로 운영되며, 대부분의 팀원들은 영국이나 이탈리아 혹은 유럽 각지에 마련되어 있는 팀의 팩토리 공장에서 원격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일하고, 100여 명 정도의 팀원만이 전 세계를 일주하며 서킷에서 경기를 치른다. 이는 규정으로 정해져 있으며, 보통 레이스 팀이라 부른다.

각 팀마다 직책명이 제각각이고 여러 방법으로 세분화되어 있어서 정확한 조직도를 가늠하긴 어렵지만, 모든 팀들이 공통적으로 임명하는 간부급 스태프들이 있다. 보통은 크게 에어로다이내믹, 엔지니어링, 섀시 부분으로 나뉘고, 상업 부분과 작전 부분이 존재한다. 이들 또한 계약을 맺고 팀과 일을 하며, 당연하게도 드라이버처럼 스카우트되거나 다른 팀으로 이적을 한다. 특히 화려한 커리어를 가진 공기역학 기술자나 엔지니어링 기술자들은 매우 비싼 값을 치르고 상대 팀에서 빼 오기도 한다. 이들의 영향력은 막강해서 짧은 기간 안에 경주차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제임스 앨리슨[76], 아드리안 뉴이, 로스 브런[77], 패트릭 헤드 경, 콜린 채프먼 같은 전설적인 엔지니어들이 바로 이런 사람들이다. 직책명은 다르지만 모든 팀들이 공통적으로 선임하는 키 피플(key people)들은 이렇다.


파일:XPB_870250_HiRes.jpg
과거 르노 F1 팀의 피트 월.

보통 그랑프리를 보면 피트 레인 바로 앞에 대여섯 명의 사람들이 우루루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 앉아 있는 이들이 그 팀에서 간부급 직책에 있는 사람들이라고 보면 편하다. 이들은 피트 월(Pit Wall)에서 라디오 교신으로 드라이버들과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작전을 세운다. 피트 월에는 각종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 노면의 온도, 레이스 카의 텔레메트리(타이어, 엔진, 브레이크 온도 및 상태 등) 등이 보여진다.
여담으로, 이 피트월 또한 각 팀에서 입맛에 맞게 설치하는 물건으로, 특유의 덩치 덕분에 운송비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큰 팀에서는 7~10명이 모두 앉을 수 있는 거대한 피트월을 설치하지만, 작은 팀에서는 그보다 작게 설치하기도 한다. 2023 시즌의 하스가 그 예로, 하스는 감독을 포함해 단 3명만이 피트월에 앉아 있었다.

8.1.3. 피트 크루[편집]


파일:pitcrew1.jpg


파일:pit stop wr 2.gif
[79]

2020 헝가리 그랑프리 퀄리파잉을 준비하는 미캐닉의 POV 영상

포뮬러 원은 레이스 중 300km 내외의 거리를 주행하는 동안 적어도 한 번은 의무적으로 피트 스탑을 하고, 2종 이상의 타이어 컴파운드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80] 2010년부터 재급유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타이어 교체가 우선이고, 파손이 있을 경우 프론트 윙을 교체하거나 전략에 따라 프론트 윙의 플랩을 조정하기도 한다. 종종 공기 흡입구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다. 극단적인 경우로는 밸트를 다시 체우는 경우도 있다. 물론 프론트 윙 교체는 시간손해가 막심해서 드라이버들도 프런트 윙 파손은 최대한 피하는 편이다.

포뮬러 원의 피트 스탑은 엄청 빠르기로 유명한데 최단 기록으로는 1.80초 만에 타이어 네 개를 모두 교체하고 출발하기도 했다.[81] 어지간한 경우 2초 중반에서 3초 초반으로 마무리된다. 3초 후반 4초 초반만 나와도 망한 피트스톱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82] 사실, 포뮬러 원의 피트 크루들은 다른 모터스포츠에 비하면 굉장히 인원이 많은 편인데, 많은 인원을 투입할 자본이 충분한데다가 일사불란한 피트스톱 자체도 흥행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 최근에는 앞바퀴에 추가된 구조물로 느려진 편이기는 해도 3초 이내로 마무리한다.

또한 피트스톱은 각 팀당 1곳밖에 없어서 같은 팀 차량이 이미 피트 스톱하러 들어갔다면 다른 같은 팀 차량은 피트스톱에 들어가기 곤란해진다. 하지만 상술하듯 피트 시간이 짧게 걸리기에, 2초 이상 간격을 두고 들어가면 전혀 문제 없다. 이런 식으로. 이런 것을 더블 스태킹 (Double Stacking)이라고 부른다.

반면 GT 월드 챌린지, DTM, 슈퍼 GT, 인디카, WEC는 많아 봐야 4~6명 정도가 전부이다. 이는 F1 정도의 피트 크루를 고용할 자본이 안되는 팀이 더 많은 걸 감안한 것으로 일종의 팀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규정이다. 보통은 4명이 2인 1조로 이루어서 각 양쪽에 있는 2개의 타이어를 분리-교체하는 작업을 한다. 그리고 앞에서 1.82초만에 타이어를 모두 간다고 했는데, 몇몇 리그에서는 저렇게 빨리 끝내고 나오면 페널티 먹는다. 애초에 할수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역시 예산 문제로 인한 규칙으로 한 번 들어가면 최소 1분 혹은 90초는 머물러 있다가 출발해야 한다.

위 사진을 보듯이 기본적으로 타이어 하나에 세 사람이 붙는다. 타이어 볼트 탈착 및 재부착하는 사람, 헌 타이어 빼는 사람, 새 타이어 끼워주는 사람, 이렇게 3명이다. 그리고 앞과 뒤에서 차를 들어올리는 사람[83], 양쪽에서 차가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사람, 그리고 다른 차들과 부딪히지 않고 피트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롤리팝맨[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프론트 윙을 바꿀 경우 두세 사람 정도가 더 추가된다. 그리고 가끔씩 리어 윙이나 바지보드에 이물질이나 다른 차와의 충돌로 파편이 꼈을 때 그걸 빼주고 수건으로 재빠르게 닦아주는 사람들도 추가로 들어간다.

이 작업은 생각보다 굉장한 훈련을 요하는 일로 포뮬러 원 경기를 보다 보면 연습 때 수시로 피트 스탑 연습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양쪽에서 타이어를 빼고 끼우는 크루들은 몸이 굉장히 좋은 편인데, 이들 중에는 전직 운동선수 출신도 있다고 한다.

타이어를 갈아끼울 때 타이어 너트를 제대로 쪼이지 않아 주행하면서 타이어가 차에서 빠지는 사고가 종종 있는데, 이런 사고가 일어날 경우 FIA에서는 팀에 벌금을 물린다. 나사 빠진 F1 타이어는 수십 킬로그램짜리 둥근 물체가 100~200km/h급 속도로 서킷에 마구 굴러다니는 꼴이라 매우 위험하기 때문이다.[85]


8.1.3.1. 오해[편집]

F1 팀에서 타이어를 교체하고 엔진이나 브레이크 등 각종 장비들을 정비하는 사람들까지도 세계 우수의 대학교를 졸업한 석·박사들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엔지니어(Engineer)들과 미캐닉(Mechanic)의 역할에 대한 정보가 뒤섞인 잘못된 정보이다. 피트 크루 또는 미캐닉들은 석·박사가 아니다.

먼저 피트 크루들은 피트 스톱만을 위해 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는 각자 자리에서 근무하다가 레이스 때 피트 스톱 업무를 겸하는 것이다. 레이스가 아닌 기간에도 강도 높은 트레이닝, 훈련과 차량 개선에 힘을 쓰며 각자의 역할을 다한다. 또한 타이어 교체와 같은 중요한 임무는 대체로 미캐닉(정비사, Mechanic)[86]들이 담당하지만 FIA 규정 상 피트에서 운용할 수 있는 전체 인력의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부품 확인, 장비 청소 관리 등을 전담하는 비 미캐닉 인력들까지 피트 스톱에 참여한다. 이 경우 소화(消火)요원 같은 비숙련자들도 할 수 있는 작업을 담당한다.

두 번째로 미캐닉들은 빠르면 고등학생 때 레이스카 정비사의 길로 뛰어들어 하위 포뮬러부터 기술을 갈고닦은 포뮬러카의 조립, 정비에 장기간 수련된 숙련공들이다. 미캐닉은 가장 장시간 일하고 가장 많은 체력이 요구되며 경기 중 부상의 위험에도 노출되는 쉽지 않은 직업이며 특히 F1 미캐닉들은 수 많은 지식, 경험을 가진 최고의 정비사들[87]이 한 자리에 집합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이 고급 인력이라고 고학력자들인 것은 아니며, 경력과 숙련도에 따라 다르긴 하겠으나 알려진 것처럼 모두가 상당한 고액의 연봉을 누리는 것도 아니다. 앞서 말했듯이 피트 크루 전원이 미캐닉인 것도 아니고.

반면 각종 역학 지식들을 갖춘 진짜 석·박사[88]들은 대부분 본부에서 근무하며 엔지니어(설계사, Engineer)로서 F1 차량을 설계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르노(ING 시절)와 로터스, 르노 스포트 F1 팀을 거쳐 현재 알핀에서 근무하는 김남호 박사의 칼럼을 읽어보길 권한다.#

8.1.4. 피트 차고[편집]


파일:F0B100EB-53B4-463B-ABED-BC1A2C86BB68.jpg

피트 크루들과 드라이버, 감독, 엔지니어 등을 비롯한, 팀에 관련된 모든 인원들이 상주하는 곳으로, 경기 전에 모든 차량들과 차량의 여분 부품들, 장비들과 모든 데이터가 철저하게 극도의 보안 속에서 보관되는 곳이다. 송출되는 경기 방송을 시청 하다 보면 드라이버들이 피트 인, 아웃을 할 때 각 팀들의 피트가 보이는데, 팀들의 피트는 이전 시즌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포인트 순서대로 정해진다. 피트 입구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2곳씩 배정하는데, 당연히 성적이 가장 낮을 수록 제일 뒤쪽의 피트 출구에 가까운 곳으로 배정받는다.

그렇기에 가깝거나 먼 경우에 따라서 장,단점이 각각 있다. 먼저, 피트 입구와 가장 가까운 상위권 팀들은 동시에 다른 팀 차량과 같이 피트 인 하는 경우,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피트 크루들의 교체 시간이 빠르다고 가정하면) 먼저 타이어를 교체하고 가능한 빨리 빠져나갈 수 있지만, 미리 예정된 피트 인이 아니라 갑작스레 정보를 전해 들은 경우[89] 대비를 제때 하지 못해 불이익을 얻을 수 있다.

반면, 피트 출구와 가까운 하위권 팀들은 이와 반대로 피트 레인 입구 근처 마지막 코너에서 드라이버가 막 정보를 전해들어 급하게 피트 인 하여도 피트 내에서는 80km/h 이하로만 주행해야 하기 때문에 입구와 가까운 팀들보다는 비교적 타이어를 더 빨리 준비할 수 있다.[90]


8.2. F1 레이스 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포뮬러 1/레이스 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편집]














45. 팀메이트랑 박지 말 것.
16. 자신의 차를 아끼고 사랑할 것.
31. F1에서는 종종 비통한 일이 많으니 대비할 것.
23. 막스는 순순히 물러날 드라이버가 아니니 숙지할 것.
22. 아이스맨에게 장문의 답을 기대하지 말 것.
17. 가끔 빡치는 상황이 발생.
12. 적절한 갭은 추월에 아주 좋으니 숙지할 것.
15. 또 다른 탈것이 있다면 더 좋다.
1. 절대 포기하지 마라.



9.1. 한국에서 비인기인 이유[편집]





우선 자동차 경주 문화가 한국에선 종목으로 자리잡지 못한 탓이 있고, 일반인들의 대중적인 인식 자체가 자동차를 하나의 문화로서 여기기보다 그저 교통수단, 혹은 재력 과시용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의 비중이 훨씬 크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98][99] 서구권에서는 자동차가 처음으로 발명된 이후 경마와 마찬가지로 탈 것으로 경주 시합을 벌이는 문화가 자리잡았고 일본은 자동차 공업의 비약적인 발달 및 버블 경제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자동차 경주 문화가 정착했다. 반면 한국에서는 애초에 탈것으로 경주 시합을 하는 문화가 없었고[100], 그랬기에 자동차가 보편화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에도 자동차로 경주를 벌인다는 개념이 상당히 생소하고 인식이 전무했기에 스포츠 문화로 자리잡지 못했다.[101] 이는 비단 F1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모터스포츠계 자체가 성장하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하다. 그나마 알려진 레이싱 드라이버들도 대개 다른 직업(투잡)을 가지고 취미로 즐기는 정도이며, 전업 드라이버는 많지 않다. 애초에 한국에서는 경마를 제외하면 경주 스포츠 자체가 인기가 없다.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F1 다큐멘터리 F1, 본능의 질주가 매니아들의 입소문을 타고 좋은 반응을 얻으며, 덩달아 F1에 대한 관심도도 오르긴 했으나 여전히 모터스포츠 매니아들을 제외하면 관심조차 없다.[102]

Star Sports 채널에서 F1을 영어 중계로 라이브 중계했었고 JTBC GOLF&SPORTS 채널에서도 녹화방송이긴 하지만 풀 레이스를 유튜브에 업로드 하며 한국 F1 팬들의 목마른 갈증을 해소시켜주기도 했지만 F1 자체가 워낙 인기가 없으니 2021년 10월 1일, 해당 영상들이 모두 비공개로 전환되었고 그 달에 Star Sports 채널도 송출을 중단하면서 국내에서 F1 중계를 해주는 스포츠 채널은 1년여 동안 없다. 다행히 2022년 10월에 쿠팡플레이에서 F1 중계권을 사들이며 이젠 VPN 없이 합법적으로 F1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찬양하라

게다가 간단한 장비만 있으면 비교적 제한된 공간과 자본으로도 어느 정도나마 육성이 가능한(어디까지나 이론적으로) 일반적인 구기스포츠와는 다르게, 모터 스포츠는 경주차 개발과 드라이버 육성에 상당한 자본을 필요로 하기에 1980년대 중후반부터 비로소 서구권과 경제력이 비슷해지기 시작한 한국의 특성상 드라이버를 육성시킬 만한 인프라마저 성장하지 못했다. 당장 어린이들이 레이싱 카트를 탈 만한 곳부터가 한국에는 거의 없다. 애초에 카트를 접할 수 있는 곳 자체가 제주도 같은 관광지가 대부분이니 말 다했다. 제대로 카트를 타볼 수 있는 곳은 서울 내에는 잠실을 제외하면 없었으나 2020년 말경 폐업한 뒤로는 수도권 내 카트장은 파주가 유일하다.

한국 팀과 선수가 없는것도 한몫한다. 일반 사람들 입장에서도 자국 팀과 선수가 없으니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고 관심이 있다고 해도 위에서 말한 것처럼 모터스포츠라는 게 한국인의 정서와는 안맞는 스포츠이다 보니 진입장벽도 높은 것이다. 현대가 F1에 참가하지 않는 이유는 이 에펨코리아 글에 잘 정리되어 있다. 애초에 카트에 입문을 하고 실적을 내도 한국에는 그 바로 위 클래스인 F4조차도 없다. 일본은 주니어 포뮬러, 포뮬러 4, 포뮬러 3, 슈퍼 포뮬러로 이어지는 체계가 완성되어 있고, 슈퍼 포뮬러에 토요타와 혼다가 엔진을 제공하고 있어 경쟁 체제도 갖춰져 있는 상태다. 이런 체계적인 인프라 없이 맨땅에 천재가 나타나더라도 한국에서만으로는 F1에 갈 선수를 만들어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레이싱이라는 것 자체가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목숨을 담보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 목숨을 담보로 하는 오락거리에 대해 거부감이 강한 한국 문화권에서는 모터 스포츠 자체가 하나의 스포츠 문화로 자리잡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서구권에서는 이베리아 지역의 투우, 아메리카 지역의 로데오도 지역의 오락 문화로 인기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사람 목숨으로 장난을 친다며 거부감을 갖는 사람이 많은 것이 그 방증이라 할 수 있다. 2010년부터 13년까지 전남 영암에서 F1을 개최하기도 하고 미디어의 발달로 여러 정보를 쉽게 접해볼 수 있는 지금은 사정이 그나마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지금까지도 불모지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그래도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는 영암이 아닌 인천 송도나 영종도, 부산 해운대 등의 제대로 된 인프라와 접근성을 갖춘 곳에서 경기를 한다면 인기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만, 쿠팡플레이 중계 이후 윤재수 해설위원에 따르면 쿠팡플레이 측에서 설명하기를 F1 시청자수가 상당히 많아졌으며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국내 F1 중계 사상 최초로 싱가포르 그랑프리를 현지 중계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10. 시즌별 그랑프리[편집]






10.1. 개별 문서가 있는 그랑프리 목록[편집]




11. 규정[편집]


역대 규정 변화
현재 규정


11.1. 레이싱 깃발[편집]


깃발이름설명
파일:attachment/Green_flag.jpg녹색기레이스 시작, (황색기 종료 시)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정상 속도로 진행해도 좋음.
파일:attachment/Yellow_flag.jpg황색기트랙 주변에 문제가 발생했으니 모든 차량은 서행, 추월 금지.[103][104] 세이프티 카 발령(SC 보드와 함께 제시)
파일:double_yellow_flag.jpg이중 황색기트랙 위에 문제가 발생했으니 모든 차량은 서행하며 언제든지 정차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
파일:attachment/Red_and_yellow_striped_flag.jpg황적줄무늬기레이스 카에서 샌 오일 또는 빗물이나 고여있는 물로 인해 트랙이 미끄러우므로 주의할 것[105]
파일:attachment/Red_flag.jpg적색기대형 사고,[106] 기상 악화로 세션을 중단함
파일:attachment/White_flag.jpg백색기전방에 느린 차량 (고장 차량 혹은 트랙 구조 및 관리 차량) 이 있으니 주의할 것
파일:attachment/Per_bend_black_white_flag.jpg흑백반기비신사적 행위에 대한 경고(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107]
파일:attachment/Black_flag.jpg흑색기실격되었으니 피트로 복귀해 세션 참여를 중단할 것(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108]
파일:attachment/Black_flag_with_orange_circle.jpg흑색오렌지원기문제가 발생한 차량은 즉시 피트로 복귀해 수리받을 것(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109][110]
파일:attachment/Blue_flag.jpg청색기후미 빠른 차량에게 양보할 것[111], 1랩 뒤쳐진 차량(백마커)은 접근하는 선두 차량에게 길을 양보할 것[112]
파일:attachment/Checkered_flag.jpg체커기해당 세션을 종료함[113]

경기 중 트랙에서 드라이버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깃발이다. 경기위원장이나 마샬 요원이 깃발을 흔들며, 깃발 조명이 갖추어져 있는 트랙의 경우 해당 조명에도 깃발 색을 띄워 드라이버에게 트랙과 자신의 상태 및 차량의 상황을 알린다. 이는 팀에도 전달되어 드라이버가 깃발을 미처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 엔지니어가 무전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황색기는 두 가지 활용법이 있는데, 단일 황색기 (single yellow flag) 는 트랙 옆 또는 트랙 일부분을 가로막는 경미한 위험요소[114] 가 있을 때 발령된다. 이중 황색기 (double yellow flag) 는 트랙의 대부분을 가로막는 중대한 위험이 있을 때 또는 코스에 사람이 있을 때[115] 발령되며, 서행하여 섹터 타임과 랩타임을 늘려야 한다.


12. 사건/사고[편집]





13. 용어[편집]



예외적으로 직선주로에서 지그재그 슬라럼 주행을 하지 않는 드라이버도 아주 간혹 보이는데[117] 이는 주행을 하면서 날씨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열이 올라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개 경유(Light oil)에 파라핀 성분의 용액과 형광색 광원 분말을 섞은 액체를 쓴다. 차량에 용액을 뿌리고 싶은 부분에 칠하고 난 후, 드라이버가 차량에 탑승하고 나서 피트를 나가 트랙을 주행한다. 이때 브레이크 점멸등은 초록색으로 표시되며, 속도가 빨라지고 코너링을 거치면서 페인트가 마르고 광유가 증발하며 어떠한 종류의 공기 흐름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시각화하여 알아보기 위함이다. 사진을 가까이에서 자세히 확대하여 찍어 자료를 만들고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시스템에 자료들을 모두 모아놓고 분석하거나 풍동 실험장(Wind Tunnel)에서 테스트한다. 그런 다음, 공기역학 담당 엔지니어들이 그것을 분석할 때 용액이 어떻게 분리되어 있고, 차 표면 전체에 걸쳐 적절한 흐름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곳과 같은 흔적 같은 것들을 살펴보며 조사한다. 이 과정은 공기의 상류층에서 어떤 작용이 가해지고 있는지 많은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차량의 역학 부분에서의 단점과 같은 특정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어준다.
플로우 비즈의 컬러는 주로 형광색이나 초록색,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하얀색 등의 색상을 사용한다. 단색 컬러만 뿌릴 때도 있고 동시에 여러 컬러를 뿌릴 때도 있다. 이 용액을 차량에 뿌리면 페인트를 칠한것 같이 차량 외부가 굉장히 더러워지기 때문에 각 팀의 리버리 컬러가 엉망이 된다.
F1 테스트 세션을 보다 보면 플로우-비즈를 뿌린 채 주행하던 차가 피트에 돌아오면 팀의 크루들이 즉시 스크린(가림막 덮개)으로 차량을 가리는 장면들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른 라이벌 팀들이 공기 역학에 대한 정보를 훔쳐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모든 F1 팀들은 플로우-비즈가 뿌려진 차량의 사진이 외부로 유출되어 정보 소스가 새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는다. 즉, 실험적인 측면에서 보면 잡음이 꽤 나기도 하지만 의외로 단순한 방법이어서 가장 유용하기도 하다. F1 공식 사이트의 플로우-비즈 소개 영상 및 설명 링크의 영상 참조
피트 스톱을 할 때마다 발생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 정비에 필요한 시간을 극단적으로 줄이는데, 이 때문에 피트 인 또한 F1의 볼거리 중 하나다. 실제 정비에는 대락 2~3초 정도가 소요된다. 원래는 7초 정도 걸리는 과정이었는데 중간 급유가 금지되면서 3초 대로, 이후 시즌을 거듭할수록 타이어 정비공들의 실력이 향상되고 휠건 등 공구 관련 기술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전체 평균 시간이 2초대에 이르렀다. 그중에서도 피트 스탑을 가장 빠르게 하는 팀인 레드불 레이싱윌리엄스 레이싱은 2초가 채 안되는 피트 스톱 기록들을 내며 기네스북 세계 기록의 F1 피트 스탑 부문 신기록을 매번 갈아치웠다. 포뮬러 1 차량의 엄청난 감속/가속 능력과 한 몸처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미캐닉들의 작업이 볼거리로 꼽힌다.

이외 더 많은 용어들의 설명은 여기로.


14. 방송 중계[편집]




15. 테마송[편집]



2018년부터 쓰이는 브라이언 타일러의 테마곡.


BBC가 쓰던 플리트우드 맥의 <The Chain>.


BBC 시즌 피날레 영상에서 쓰이던 앨리스터 그리핀의 <Just Drive>.

F1은 그 역사가 무색하게도 자체 테마곡이 없었다. 그 전의 경우 BBC에서 78년부터 오프닝으로 쓰던 플리트우드 맥의 <The Chain>이[128] 일종의 테마곡처럼 받아들여졌고, 시즌 피날레 영상에서는 이런 저런 노래들을 빌려와 쓰다가 언제서부터인가 앨리스터 그리핀(Alistair Griffin)의 <Just Drive>를 빌려와서 쓰곤 했는데 브라이언 타일러의 테마곡이 생기면서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129] 감격한 F1 열혈 팬들 중 일부는 결혼식 축가로까지 쓴다고 하는 경우도 있는 듯. 반면 테마곡 이외에 쓰이는 곡으로는 2019년에 케미컬 브라더스의 <We've Got To Try>가 추가되었는데 아직 인지도는 부족한 듯.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사용된 T-SQUARE의 <Truth>라는 곡이 유명하다.


케미컬 브라더스의 We've Got To Try[130] 뮤직비디오[131]


15.1. F1 Tracks[편집]


스포티파이, 애플 뮤직, 디저에서 이용 가능한 F1 음악 리스트로, 글로벌 뮤지션들의 노래가 들어가 있는 F1 전용 트랙이다. 2019년 7월에 첫 소개된 이후 매년 각 그랑프리 별로 새로 발매된다.# SM 엔터테인먼트의 샤이니NCT, 그리고 SuperM, 에픽하이 등, K팝 노래도 들어 있다.#


16. 스폰서십[편집]


파일:포뮬러 1 로고.svg 포뮬러 1 파트너 브랜드





17. 매체에서[편집]




18. 하위리그[편집]




19. 관련 국내 사이트[편집]




20. 관련 문서[편집]




21. 둘러보기[편집]




영국
관련 문서
⠀[ 정치 ]⠀

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치안·사법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5개의 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네덜란드계 · 한국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영국계 브라질인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생활비 절약 노하우 · 혐성국

⠀[ 문화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41:26에 나무위키 포뮬러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부터 휠을 독점 공급한다.[2] 회장이 상업적인 부분의 최종 책임자라면, FIA에서 파견되는 레이스 디렉터의 자리는 순수 경기적인 측면에서의 최종 책임자의 자리이다.[3] 각 그랑프리의 하이라이트와 팀 라디오 영상들을 꾸준히 업로드한다. 다만, 나무위키같이 링크로 연결된 동영상은 재생이 안 되며, 영어 자동 자막조차 지원해주지 않는 게 단점. 그래도 영어를 다 알아듣는 것까지는 무리여도 얼추 읽고 들을 수만 있으면 대부분의 영상 내용은 따라갈 수 있다.[4]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채널은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있지 않는 과거 영상이나 보기 어려운 예전 선수들의 사진을 가끔씩 업로드해준다.[5] 모터스포츠 불모지인 한국에서 가장 활성화된 커뮤니티이다. 레이스가 있는 날에는 중계로 실북갤에 자주 올라가는 편. F1뿐만 아니라 타 카테고리 레이스에 대한 이야기도 자주 나온다. F1을 주축으로 전반적인 모터스포츠 전체에 대해서 다루는 편. 자세한 것은 F1 마이너 갤러리 참고.[6] 모터스포츠 탭으로 존재하며 레이스 때에는 꽤나 글 리젠이 빠르다.[7] 디시인사이드보다는 네이버 카페의 분위기에 좀 더 가까운 사이트. 커뮤니티 이름은 포뮬러당이다.[8] "불이 꺼지고, 모두 출발합니다!". 스카이 스포츠의 F1 메인 캐스터를 맡고 있는 데이비드 크로프트의 시그니쳐 멘트로, 2012년부터 캐스터를 맡기 시작한 이후 차량들이 출발할 때 항상 나오는 멘트다. 크로프트가 중계를 처음 시작한 몇 그랑프리 동안은 다른 멘트를 썼지만 시간이 지나며 위의 멘트로 바뀌었고 이후로 변함없이 사용해오고 있다. [9] 유튜브 하이라이트 영상에서는 2022년까지 이 멘트를 들을 수 있었고, 2023년부터는 스카이 스포츠 중계가 아닌 F1 TV의 중계가 하이라이트에 사용되고 있어서 유튜브 하이라이트에서는 더 이상 이를 들을 수 없다. 스카이 스포츠 중계를 듣는다면 크로프트의 목소리와 고유의 시작 멘트를 계속 들을 수 있다.[10] F1 레이스카의 헤일로 디바이스에도 쓰여져 있는데, 파일럿을 내려다 보는 시점의 온보드 캠에서 헤일로를 보면 떡하니 쓰여 있다.[11] Formula는 규정, 규격이란 의미로, 여기서는 FIA가 규정하는 일련의 자동차 규격을 칭한다.[12] 특히 WRX는 온로드와 오프로드를 융합한 복합 코스 그 자체가 핵심 요소인 대회다.[T] A B 모터스포츠 트리플 크라운.[13] 세계 최고의 스톡카 레이싱[14] 세계 최고의 랠리 대회[15] 세계 최고의 모터사이클 레이싱[16] 서킷을 주행하더라도 월드 랠리 크로스는 트랙사이의 비포장 부분도 이용하고 자동차끼리 부딪히며 주행하기에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17] 사실 정확하진 않다. 팀에서 다운포스를 직접 발표하는 경우도 거의 또는 아예 없고 발표하더라도 어떻게 발표하는지는 자기 마음이기 때문에 과장해서 발표할 수도 있다. 실제로 최대출력은 가끔씩 팀에서 직접 발표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팬들이 직접 측정한 출력과 수치에서 차이가 난다. 팬들도 그냥 때려맞추는 게 아니고 GPS나 항공 사진 등을 토대로 측정하기 때문에 대체로 신뢰성이 높다. 그리고 출력 같은 것들은 GPS를 이용해서라도 구체적으로 잴 수가 있지만 공기역학은 직접 차를 가지고 풍동 터널에서 돌려보지 않는 한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양덕들은 구현 정밀도가 높은 1:4, 1:6 스케일 정도의 축소 모형으로 다운포스를 측정하기도 한다.[18] 현재는 기술이 발달해서 LMH 클래스 차량들도 고속으로 오 루즈를 통과할 수 있게 됐지만, 그동안 F1의 기술 수준도 그만큼 성장했기도 하고 이마저도 많은 기술적 규제들을 무시하고 개발해야 현 F1 랩타임에 그나마 가까워지는 수준이라는 걸 감안하면 F1 성능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GT 레이스카들도 최근 공기역학 기술이 발전해 오 루즈를 풀 스로틀로 통과하지만, 랩타임은 기껏해야 2분 15초 대에 불과하다. 2020년 벨기에 그랑프리에서의 F1 차량 최고 기록은 그것보다 30초 이상 빠른 1분 41초 대가 나왔다.[19] 포르쉐 919 에보가 스파 서킷에서 1분 41초 770을 달성하며 F1의 가장 빠른 랩타임을 깼던 사례가 있었는데, 이 역시도 WEC 레이싱 규정에는 저촉되는 리밋 장치들을 모두 떼어내서 낸 기록이다. 그리고 그 해 F1 퀄리파잉에서 다시 경신당하기도 했다. 사실 919 에보가 F1의 기록을 깬 데에는 당시 F1의 사정이 있었는데, 2016년까지는 F1의 차폭이 너무 좁아서 코너 주파력이 2017년 규정 변경 전까지 가장 빠른 차량들이 경쟁했던 2004년에 비해 느렸고 2017년 규정 변경 이후 랩타임이 대폭 줄어들긴 했지만 2017년 벨기에 GP 예선 Q3에서는 비가 와서 제대로 된 기록이 나올 수가 없었다. 919 에보의 기록 수립은 2018 벨기에 GP가 개최되기 이전에 이루어졌고 2018 벨기에 그랑프리에서는 비가 오지 않아 정상적인 기록이 나온 덕에 919 에보의 기록이 깨질 수 있던 것이다.[20] 뿐만 아니라 F1과 LMP1, 현 LMH를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장 FIA에서 F1 레이스 카를 주행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슈퍼 라이선스를 발급 받기 위해서는 3년간 도합 40점을 받아야 가능한데, WEC LMH는 챔피언이 되어도 30점 밖에 되지 않는다. 오히려 F1보다 낮은 카테고리인 F2, 인디카보다 10점이나 낮고, 포뮬러 3, 포뮬러 E와 같은 점수이다. 애초부터 카테고리가 서로 각각 지향하는 분야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르고 성질도 반대되기 때문에 내구 레이스에서도 저렇게 빠를 수도 있구나하는 정도로만 다르게 봐야한다.[21] 이를 잘 생각해 보면 알겠지만 규정이 바뀔수록 쓰는 돈이 많아지니 FIA의 잦은 규정 변경이 쓸데없이 돈을 많이 쓰게 하고 그만큼 돈이 많은 팀과 돈이 없는 팀의 차이를 벌려놓기만 하는 주범으로 지목된다. 2009년 슬릭 타이어 부활, 2014년 터보 엔진 의무 규정 도입, 2017년 차폭 변경, 2018년 헤일로 도입 등 대규모 규정 변경만 해도 생각보다 잦으며 소소하지만 돈을 갉아먹는 규정 변경은 당연히 이보다 훨씬 많다. 원래 규정이 변경되면 브런 GP 같은 몇십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예외를 제외하면 초반에는 강팀들이 그들의 자본을 이용해 투자를 많이 한 만큼 많이 앞서 있고 몇 년 뒤 강팀들의 기술 수준 성장율이 낮아지면 중/하위권 팀들이 이를 따라잡는 레파토리로 전개되는 게 대부분인데 이러한 과도하게 잦은 기술 변경은 이를 원천적으로 차단해 버린다. 2010년대 초반에 중위권 팀들도 가끔씩 우승을 가져가던 것처럼 2~3년 동안만이라도 규정이 그대로면 중위권 팀들도 상위권 팀을 가끔 따라잡을 정도로 성장하는데 지금 F1은 거의 매년 규정이 은근히 크게 바뀐다. 2019년만 해도 추월을 늘린다는 명분하에 리어 윙 높이, 프론트 윙 폭 등을 수정하여 공기역학적으로 많은 부분이 달라졌다. 그리고 2022년 공기역학 규정 대개편과 2026년 엔진 규정 대개편 등 대규모 규정 변경들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이런 전개가 될 전망이다. 그나마 '예산 캡'이라고 불리는 팀의 차량 개발 및 드라이버 연봉 관련 예산을 제한하는 규정이 신설되고 시즌 순위를 기반으로 풍동 실험 시간 등을 팀 별로 다르게 주는 등으로 노력하여 예전보다는 덜해지게 되었다.[22] 예시를 들자면 한 해 팀에게 주어지는 버짓 캡이 1억 달러라고 가정할 경우 드라이버의 연봉, 차량 개발, 운영, 마케팅까지 모든 활동에 들어가는 비용을 이 안에서 메꿔야 한다. 메르세데스의 경우 루이스 해밀턴에게 지불하는 연봉은 약 4천만 달러(한화 약 500억) 정도이며 이를 뺀 나머지 6천만 달러의 비용으로 풍동 테스트 등과 같은 개발을 해야 하기에 개발이 이전보다는 더디게 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페라리는 자사의 브랜드를 이용한 마케팅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쏟아부어 돈을 긁어모아 개발에 현찰박치기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개발에 실패하는 모습을 왕왕보이는 등 어느 정도 FIA가 의도한 결과를 일구어낸 것이다.[23] 예를 들어 2014년부터의 터보 도입 규정 시기에는 이전보다 더 떨어지는 700마력이 나오는지 마는지로 논란이 일기도 했었으며 재생에너지 회수도 여러 문제를 야기했지만, 2019년의 메르세데스 V6 싱글터보 하이브리드 파워유닛은 출력이 1000마력을 상회하면서도 열효율이 무려 50%라는 괴물 같은 성능을 보여준다. 1990년대 중후반에도 아일톤 세나의 사망사고 이후 차폭이 줄어들고 그루브 타이어가 도입되는 등 대격변이 일었지만 랩타임은 오히려 좋아졌다.[24] 심지어 영상에 나온 레드불 RB7은 현재 개발된지 자그마치 10년이 지난 차량이다. 과연 포뮬러 1의 기술력이 양산차를 얼마나 앞서가는지 짐작 해 볼 수 있는 부분. 물론 무게도 약 3배 가까이 차이난다.[25] 게다가 포뮬러 1의 레이스카는 직선에서의 속도를 목적으로 두는 차량이 아닌 만큼, 서킷에서의 랩타임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그 어떤 차량도 포뮬러 1의 레이스카를 따라오지 못한다.[26] 드라이버는 데이빗 쿨싸드.[27] 물론 대규모 규정 변경이나 미드십 엔진 레이아웃을 제대로 도입해 내며 미드십 붐을 일으킨 1959년 쿠퍼나 저중심 설계로 시즌을 지배한 1988년 맥라렌 MP4/4처럼 당시 차량 개발 이념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 차량 등이 있기 때문에 시대 별로 큰 틀을 정리해 놓기는 한다.[28] 물론 현재 F1카로 다시 측정하면 이보다 기록이 상상도 못할 정도로 많이 줄어들 것이다. 현재의 타이어 제조기술과 차량의 공기역학 기술이 당시 1970년대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엄청나게 발전한 것도 있고 서킷의 레이아웃이 그때와는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F1보다 조금 느린 919 에보의 뉘르부르크링 기록만 해도 5분 대가 나왔다. 그 외에도 당시의 F1 타이어는 이제 더는 새 상태로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70년대 차량으로 기록을 측정할 일은 없겠지만, 만약 당시 차량으로 다시 기록을 측정하기 위해 제대로 주행하려면 현재 생산되는 F1 타이어를 사용해야 한다.[29] 그 유명한 포르쉐 918 스파이더가 2013년에 6분 57초,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LP750-4 SV가 2015년에 6분 59초 73을 기록했다. 앞의 두 차량들과는 별개로, 위의 기록에 가장 근접한 기록을 낸 비슷한 종류의 차량이 있는데, 바로 페라리 599XX로, 2010년에 6분 58초 16을 기록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앞의 두 차량들과는 달리 트랙 전용이며 공도 주행이 불가하다는 점이다.[30] 이것의 정도가 심해지면 스폰서 빨로만 F1에 들어오고 심지어는 성적도 개판이 되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런 드라이버들은 흔히 '페이 드라이버'라는 멸칭으로 불린다.[31] 일례로 2014 시즌에는 케이터햄에서 무보수로 시트를 겨우 따냈으며, 시즌 종료 후 팀도 사라지고 찾는 팀들이 없어 F1에서 방출되기까지 했다.[32] 2010년대 초반과 비교해도 몇 배 차이가 난다. 잘못 본 것이 아니다. 실제로 서너 배 또는 그 이상의 차이가 난다. 단순히 수억 원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갑절의 차이가 나는 것.[33] 물론 쇼트 트랙 역시 기본 스피드가 중요하기 때문에 쇼트트랙 선수가 스피드로 가서 성공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와 같이 F1 은퇴 후 슈퍼 GT에 가서 챔피언을 차지한 젠슨 버튼이나 심지어는 F1에서 챔피언을 차지한 후 모터사이클 레이스에 출전해서도 현 모토GP의 전신격 되는 그랑프리 모터사이클 레이싱의 최고 클래스인 500cc에서 4번 씩이나 챔피언을 차지한 존 서티스, 모터스포츠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일컫어지는 모나코 그랑프리, 르망 24시, 인디 500을 모두 우승한 그레이엄 힐처럼 F1 선수도 다른 곳에 가서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34]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열릴 때 1등 트로피는 당시 김황식 국무총리가 수여했을 정도.[35] 1997 시즌 챔피언인 자크 빌르너브는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개막식 때 오륜기를 들고 입장한 캐나다 대표 8인 중 한 명이다.[36] 2019년 기준 추산 연봉이 한화 6~700억.[37] 모나코 같은 경우는 그랑프리 기간 동안 관광객들이 7,000만 달러에 달하는 돈을 쓴다고 한다. 이걸로 매년 1,140억 원의 경제 효과를 보고 있다. 이는 모나코 GDP의 17%에 달하는 금액이다.[38] 영암 같은 경우는 주변 상권이나 인프라 마련 없이 대회를 개최해서 실패했다고 봐야 한다. 개최기간 4년 동안 숙박시설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 F1 코리아 그랑프리 문서 참조.[39] 유럽 그랑프리(영국, 스페인, 독일, 아제르바이잔 등)나 태평양 그랑프리(일본 개최, 미국은 비챔피언십 경기로 정식 그랑프리 X)라고 하여 자본력이 되는 국가가 본 국가의 그랑프리 외에 추가적으로 한 번 더 경기를 열어서 시즌 중 두 번 개최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국가당 한 번 개최가 맞고, 상술했던 경우는 예외적으로 판단한다.[40] 흔히 싱글시터 또는 오픈휠, 오픈콕핏, 포뮬러 차량 등으로 불린다. 각각 시트가 하나밖에 없는 차, 바퀴가 노출되어 있는 차, 운전석이 노출되어 있는 차, F1과 비슷한 모양새의 차량을 의미하여 의미하는 특징이 각기 다르지만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는 차는 포뮬러 카들 말고는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딱히 없으므로 오픈휠 차량을 의미하는 명칭으로 굳어졌으니 저렇게 부르면 그냥 F1 스타일 차량을 말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41] 아프리카에선 남아공 그랑프리가 열리긴 했으나 1993년을 끝으로 사라졌다.[42]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F1: 본능의 질주에서 나온 표현을 빌리자면, 매주 짐 싸서 전 세계를 순회하는 이른바 서커스 대회에 가깝다.[43] 2018년에 새로이 나온 F1 로고가 뭔가 동글동글하게 나온 탓도 있지만 이 당시 로고를 잘 보면 날카롭게 각져 있는 모양새, 그리고 르망 24시의 로고처럼 F 바로 오른쪽의 공백에 "1"이 형성되어 있어 이때의 로고가 지금의 로고보다 낫다는 의견을 가진 팬들이 많다.[44] 당장 이 사람만 봐도...[45] 예외로, 모나코 서킷은 금요일에 공도 재개방을 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목요일에 열린다. 따라서 기자 회견도 하루 앞당겨 수요일에 진행한다.[46] 불심검문으로 기습적인 검차를 받으러 오라는 명령을 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2018년 브라질 GP의 제바스티안 페텔.[47] 예선 진행 전까지는 차량을 자유롭게 세팅할 수 있지만, 예선부터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차량 세팅에 절대로 손을 댈 수 없게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48] 트랙을 걷거나 혹은 자전거, 킥보드(scooter)를 타고 천천히 돌면서 팀원들과 노면 상태, 시케인의 성격 등을 분석하고 어떻게 코너를 공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절차.[49] 포뮬러 원은 공식 팀원이나 드라이버가 공식 세션 전후로 특별히 지정된 구역에서 언론의 인터뷰를 받는데, 이때 거부권은 행사할 수 없다. 만약 개인적인 이유로 인터뷰를 거부하면 페널티를 받게 된다. 이렇다 보니 이런 인터뷰를 싫어하는 드라이버들도 없는 편은 아니다. 그중에서 대표적으로 키미 라이코넨은 팀이 개최한 팬 싸인회나 콘서트 인터뷰 같은 자기 PR 시간에 안가고 싶어서 일부러 꾀병까지 부렸을 정도로 싫어하는 편. 물론 이는 키미의 성격이 예전부터 친한 사람이 아니면 낯을 좀 가리고 팬 서비스도 다른 드라이버들에 비해 덜하며 본인이 잠을 매우 좋아해서 평소에 피로감을 느껴 귀찮아해서 그런 것일수도 있다.[50] 이는 당연히 코로나 19의 여파로 마스크를 쓴 채로 말하면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수도 있으니 설치한 것이다.[51] 과거에는 지금보다 팀도 1~2팀이 더 많아서 차량이 22~24대 정도나 되어 FP4까지 진행한적이 있었다. FP3와 FP4가 퀄리파잉 전에 텀을 두고 열리는 방식이었으며, 2005년 시즌 이후로는 FP3까지만 운영하는것으로 변경되었다.[52] 날씨, 트랙 상황, 노면 온도 등 변수가 매우 많기 때문.[53] 다른 스포츠의 메이저 대회가 진행되면 진행되던 중계 방송이 스킵되기도 한다.[54] 특히나 추월이 어려운 서킷일수록 그 중요도가 올라간다. 대표적인 예시가 모나코. 대체로 서킷 폭이 좁고 직선 주로가 짧고 어려운 코너가 많은 서킷이 이러한 범주에 포함된다. 추월하려면 레이싱 라인을 벗어나서 추월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러면 너무 느려져서 정상적인 추월이 거의 안 되기 때문. 하지만 반대로 이런 부류의 서킷들은 어려운 난이도의 특성 때문에 레이스를 처음 연다거나 비가 쏟아진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말 그대로 데스매치 서바이벌 레이스가 펼쳐져서 의외의 꿀잼 레이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오직 단 3명만 완주한 1996 시즌 모나코 그랑프리나, 2020 시즌에 F1이 처음으로 개최된 중고속 코너가 많은 클래식한 서킷인 2020 투스카니 그랑프리 등이 그 예시. 고저차가 심한 경우에도 추월이 어려워질 수 있다.[55] 2005년까지는 Q1, Q2, 전체 세션으로만 진행되었으며 Q1과 Q2에서 예선 탈락은 없었다. 6랩을 돌면서 최고 기록을 세우는 방식이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56] 즉 세션 제한 시간 이내에 피니시 라인을 통과해 랩을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57] 이는 Q2와 레이스 스타트가 모두 드라이 컨디션일 때에만 적용된다.[58] 피트에서 출발하여 피트 아웃(트랙으로 나가는 것)하여 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스타트 라인까지 주행하는 랩. 이때 타이어의 온도를 끌어올리고 차량을 트랙 주행에 최적화된 세팅으로 맞추면서 먼저 나가있는 다른 팀의 드라이버들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비켜주면서 주행한다.[59] 단어 뜻 그대로 나는듯이 빠른 랩, 최대한 빠른 속도로 주행하며 드라이버와 차량의 한계까지 최대한 주행한다.[60] 결승선을 넘은 후 플라잉 랩이 끝나고 난후 이제 다시 피트 인 하기 위한 랩. 이때 자신의 플라잉 랩 주행이 끝났다고 해서 다른 선수들의 랩타임을 방해하는 시도들이 줄곧 이어진다. 드라이버가 뒤에 다가오는 차를 보지 못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 전담 엔지니어가 충돌을 막기 위해 무전으로 알려주는 편. 그러나 가끔 챔피언십 결정전 같은 경우는 팀 내부에서 이를 알고 있으면서도 의도적으로 묵인하거나 오히려 더 방해하라고 담당 엔지니어들을 시켜서 구두로 지시하기도 한다. 무전에 기록되면 증거 자료로 남을 수도 있으니 다른 해당 팀에서 항의나 고소를 할 때 쓰일 수도 있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F1 라디오 모음 영상을 보면 항상 퀄리파잉이나 연습주행에서 이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매경기마다 나온다.[61] 중간을 의미한다.[62] 인터미디어트와 웻타이어는 우천시 사용.[63] 결승전이 끝나고 차량이 피트로 들어와서 정차하는 공간. F1 하이라이트 맨 뒷부분에 나온다.[64] 피트 레인 출구에 서 있다가 스타트 이후 모든 차들이 스타트 라인을 통과하면 출발할 수 있는 것. 그리드 페널티 중에서 가장 강한 페널티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파츠를 한 번에 교환하여 그다지 예선이 의미가 없게 된 드라이버들이 선택하는 경우이다.[65] 엔트리된 경주차들이 모두 그리드에 있지 않으면 그랑프리는 시작되지 않는다.[66] 불이 꺼지는 타이밍을 예측하여 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5번째 빨간 불이 켜진 후 불을 끄는 것은 레이스 컨트롤에서 사람이 직접 조작한다. 긴장 풀릴 때 쯤 꺼버려 시작할 수도 있고, 과하면 빨간불 다 켜지자마자 불 꺼서 레이스를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67] 이와 관련된 일례로 1999년 유럽 GP(뉘르부르크링)에서는 각 팀에서 불이 꺼지는 시점을 미리 예상하고 라디오 신호로 부정출발하는 것을 잡아내기 위해 일부러 잘못 조작하여 신호를 늦춤으로 인해 여러대가 점프 스타트를 한 적도 있다.[벨기에] 스파 프랑코샹[모나코] 시가지 서킷. 서킷이 워낙 짧고 속도가 느려 260km만 주행한다.[68] 2020 시즌 한정으로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의 아우터 레이아웃으로 열리는 사키르 그랑프리에서는 87랩을 주행했다.[69] 제한 없음. 패스티스트랩을 기록한 선수가 레이스를 중간에 포기해도 무조건 1포인트가 주어졌다.[70] 상위 10위 내 드라이버 한정. 패스티스트 랩 기록 소유자가 11위 이하로 랭크되거나 레이스를 중도포기하면 그 경기의 패스티스트 랩 포인트는 아무에게도 부여되지 않고 소멸한다.[71] 1996년에 영국에서 이탈리아로 국적 변경.[72] 1976년에 미국에서 영국으로 국적 변경.[73] 사진에서 보이는 건 오토클레이브다.[74] 영국이 사실상 F1 종주국인 이유도 이 때문.[75] 매노어 레이싱은 팀 해체 이전까지 1/6 크기의 윈드 터널 모델을 제작하여 시험하였다#.[76] 2020년 스티어링 휠 규정의 허점을 이용해 DAS(듀얼 액시스 스티어링) 시스템을 개발한 인물.[77] 베네통에서 슈마허를 챔피언으로 이끌고 이후 슈마허 와 같이 페라리로 옮겨가 2000년대 초반 페라리의 성공의 한축을 담당하는 사람이자 후기 혼다 팀, 이후 자신의 이름을 딴 브런 GP, 그 후 초기 메르세데스 팀의 수장이었고 현재는 포뮬러 1 관리 감독이자 기술 감독을 맡고 있는 현존하는 전설이다.[78] 실제로 많은 F1 팀이 법인으로 등록된 경우가 많다.[79] 2019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기록된 당시의 피트 스톱 월드 레코드[80] 다만 우천경기에는 위의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피트스톱 없이 완주해도 문제없다. 예를 들어 2021 터키 그랑프리에서 알핀의 에스테반 오콘이 피트 스탑 없이 완주하였으나, 이런 노스톱 전략이 흔한 편은 아니다.[81] 2023년 10월 8일 맥라렌 F1 팀이 카타르 그랑프리에서 랜도 노리스의 타이어를 교체하며 기록했다.[82] 서킷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서킷에서 1-2초내에서 순위가 5-6계단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어 7위가 40초인데, 13위가 42초인 경우다. 그런 상황에서 13위를 한 선수의 피트스탑이 4.3초가 걸렸고, 다른 선수들이 2.3초씩 걸렸다면 이 선수는 피트 스탑때문에 순위가 5위나 밀렸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거다.[83] 포뮬러 원은 피트 스탑시 차를 직접 사람이 들도록 규정하고 있다.[84] 현재는 신호등 형식의 색등으로 피트아웃 타이밍을 알려주지만 2012년까진 기다란 막대사탕 모양의 표시판으로 피트아웃 타이밍을 알려줬었기 때문에 롤리팝맨이라는 명칭이 붙었고 현재도 그렇게 부른다.[85] 실제 도로에서도 타이어 관리가 안 된 화물차의 타이어가 펑크 나는 등의 이유로 주행하는 도중에 빠져서 그 속도 그대로 다른 차에 들이박아서 일어나는 사고가 많다.[86] 이들은 각종 정비장비들을 조작하는 데 능숙하며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신속하게 수리하거나 긴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87] 일례로 21년 헝가리 그랑프리에서 레드불팀 드라이버 막스 베르스타펜이 배리어를 들이박아 차가 심각하게 파손되었는데 이걸 15분만에 수리해서 경기 40초 전에 간신히 투입시킨적이 있었다. 미캐닉들은 비디오 판독으로 순식간에 예상되는 고장을 파악하며 빠르게 수리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차량을 고장낸 당사자인 막스는 믿을 수 없는 일을 해냈다고 극찬했으며 경기 성적은 2위로 마무리했다.[88] 일부 학사급 포함[89] 2018, 19 시즌 독일 GP에서 메르세데스의 케이스가 가장 대표적이다. 전자는 해밀턴이 피트 입구 직전 마지막 코너에서 피트 인을 하려고 입구로 향하다가 순간 엔지니어의 정보를 전해 듣고 다시 트랙으로 복귀했다. 후자도 해밀턴이지만 마지막 코너에서 방호벽에 부딪혀 노즈 콘이 깨져서 피트 인을 해야 했다. 마침 타이어도 같이 갈아끼웠어야 했는데, 바로 코 앞에서 사고가 났기 때문에 정보를 늦게 전해 들어 피트 크루들이 미처 준비하지 못하고 정비 시간이 길어져 50.3초 라는 엄청난 시간 손실을 입었다.[90] 2020 시즌 무젤로 GP에서 라이코넨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43랩에서 급하게 피트로 방향을 틀어 피트 인 하였다. 당시에 피트 레인 입구와 가까웠다면 시간 손실이 컸을 것이지만 알파 로메오는 하스, 윌리엄스 다음으로 출구와 가까웠기에 제때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피트 입구가 직선 주로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어서 급하게 방향을 틀어 경계선을 침범하였기 때문에 5초 가산 페널티를 받아서 좋은 점이라고 보긴 어렵다. 해밀턴의 경우와 같이 호켄하임링처럼 마지막 코너 근처에 피트 입구가 위치해 있었다면 감속을 해야 하기 때문에 페널티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서킷별로 장,단점이 있다.[91] 레이스 기록을 측정해주는 관리자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92] 한국 내에서 모터스포츠는 등장할 때부터 찬밥받는 신세였고, 지금도 거의 달라진 점 없이 그대로다. 그나마 이런 현실 속에서도 GT3나 스톡 카 레이스인 슈퍼6000같은 클래스보다도 F1이 인기가 없는데 과연 한국 국민들이 F1에 대해 관심을 갖고 어느 정도나마 인정 해주기나 할까? 물론 이는 시간 문제이기 때문에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쳐도, 아무런 변화 없이 무작정 몇십 년 후까지 기다린다고 해서 좋아질 일은 절대 아니다.[93] 페라리는 벨라스. 레드불은 바이비트, 메르세데스는 FTX(파산으로 철회). 맥라렌은 OKX와 테조스, 알핀은 바이낸스. 애스턴 마틴은 크립토닷컴, 알파타우리는 팬텀, 알파 로메오는 플로키를 스폰서로 두고 있다.[94] 그중에는 드라이버 챔피언 후보였던 두 레드불 드라이버도 끼어 있었다. 웨버는 사고가 났고, 페텔은 1등으로 주행하다 엔진이 블로우되며 그대로 리타이어.[95] 참가하려면 일단 스포츠카를 만들어야 한다. 2도어 스포츠카를 양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것저것 개조를 해서 참가하는 게 GT 레이스이다. 그런데 있던 스포츠카마저 단종됐으니 참가 조건부터 맞지 않다.[96] 그리고 양산차를 만드는 제조사에겐 F1은 그다지 매력이 없다. 제한된 도로에서 나오는 제한된 기술이라 양산차에 적용되기 어려운 기술들이 대부분인것. 오히려 WRC나 WEC에서 얻는 데이터들이 양산차 적용에 이득이다. 각 레이싱별 참가회사만 봐도 답이 나온다. 명품 자동차로 유명한 포르쉐도 비슷한 이유로 F1을 돈만 처먹는 스포츠라고 까고, 내구 레이스나 전천후 스포츠카 레이스 위주로 참여 중이다.[97] 1년마다 약 3500억 원. 이것 때문에 금융위기 때 F1에 참여했던 많은 팀들과 회사들이 휘청거렸고, 이때 토요타나 BMW, 혼다가 F1에서 철수하였다.[98] 실제로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꽤 큰 편에 속하지만 전적으로 일반 차량들 위주로 이뤄져 있으며, 스포티한 차량도 쿠페 정도에 불과하고 그나마 현대, 기아에서 n 시리즈와 gt 라인을 출시하면서 고성능 차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99] 한국인들은 차급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대형 세단의 수요도 높은 편이다. 자신의 용도에 맞지 않게 큰 차를 구매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100] 이는 유교 문화의 영향도 있는데, 야외 활동을 천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신라 시대만 하더라도 화랑들이 마상 시합을 벌인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과거 고구려 벽화에서도 말을 타고 경주를 벌인 장면이 있지만,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이런 활동들은 천한 것으로 여겨졌기에 사라져 버렸다.[101] 2022년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서울대작전의 경우 1988년도가 배경년도인데다가 주인공들이 레이싱에 관심 있는 20대 청년들이라는 설정이 있으나 당대 현실과 맞지 않고 오히려 너무 과장되었다는 비판이 괜히 나온 것도 아니다.[102] 넷플릭스 본능의질주가 잘 만든 시리즈이긴 하지만, F1을 즐기기엔 정보를 전달하는게 부족하긴 하다. 본능의 질주는 그냥 F1의 뒷이야기 정도 수준이고, 실제로 레이스를 즐기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기에, 본능의 질주를 재미있게 봤더라도, 정작 레이스를 관람하면 그 재미는 생각보다 떨어지게 되어 있다.[103] 마셜 포스트별로 쪼개진 미니섹터 중 문제가 있는 곳에만 황색기를 발령하며, 그 다음 포스트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녹색기를 제시한다.[104] 스튜어드가 선수를 향해 한 번만 흔들어서 경고받았음을 통지하기도 한다.[105] 2012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노란색 깃발 조명이 표시가 됐었는데, 당시 페텔이 옐로우 플랙을 어긴 것이 아니냐며 (실제로는 해당 구간은 오일 플랙 상황이었다) 아주 잠깐동안 이슈가 되기도 했다. 또한 해당 그랑프리에서의 사례에서처럼 조명보다 깃발이 더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오늘날에는 전부 LED 전광판 방식이라 깃발 모양이 그대로 표시된다.[106] 대표적으로 아일톤 세나의 사망 사고나 로맹 그로장의 바레인 서킷에서의 충돌 및 화재사고. 다행히도 로맹 그로장은 헤일로 디바이스 덕분에 손에 화상만 입고 목숨을 건졌다.[107] 주로 반복적인 트랙 이탈이나 누적된 경고 횟수, 혹은 사고 발생 시 자주 발령된다. 축구의 옐로 카드에 해당한다.[108] 축구의 레드 카드에 해당하며, 위의 흑백기를 받고도 반칙 행위를 계속하거나 기술적인 규정을 위반하면 스튜어드가 흑색기를 선수의 번호와 함께 발령한다. 이 경우 즉시 리타이어되고, 경기 결과에는 DSQ(Disqualified, 실격)으로 처리된다.[109] 영어로는 번역이 애매한 원을 빼고 black and orange flag라고 부른다. 파손 상태로 레이스를 강행하는 차량에게 발령되며 파편이 추가로 떨어지거나 더 심한 문제로 차량이 트랙 위에 서게 되면 더 큰 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깃발은 수리를 강제해 위험요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깃발을 무시한 채 주행하면 흑색기를 받아 실격될 수 있다.[110] 2022년도에 들어 레이스 디렉터가 1명에서 2명이 번갈아 가며 맡게 되었는데, 디렉터가 이 깃발을 특정 팀(하스 등)에 남발하듯 발령하여 혼란이 많이 발생되었다.[111] 연습·예선의 경우[112] 하위권 차량이 심하게 뒤쳐져서 상위권 차량이 한 바퀴를 더 돌아 하위 차량의 뒤에서 다가오는 상황에 발령된다. 만일 청색기가 3번 발령됐는데도 하위 차량이 상위 차량에게 순위를 양보하지 않으면 페널티를 받게 된다.[113] 연습, 예선에도 똑같이 사용된다. 레이스가 종료될 때는 그 상징성이 크기 때문에 체커키를 유명인이 흔들기도 한다.[114] 예) 트랙 바깥 정차, 스핀 등[115] 예) 작업 중인 마샬이나 탈출한 드라이버 등[116] 단, 세이프티 카 상황이나 가상 세이프티 카 상황 모두 225Km/h 정도 이하까지만 속도를 높일수 있다.[117] 대표적으로 키미 라이코넨. 이유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추측에 따르면 키미의 주행 타입이 코너를 돌 때 살짝 오버스티어를 시키며 돌기 때문에 차가 슬라이드 되면서 자동적으로 타이어 온도가 상승하므로 굳이 일부러 온도를 끌어올릴 필요가 없으며, 타이어 온도를 올릴 경우 과열된 온도로 인해 타이어의 면적이 더 빨리 닳아 없어질 수 있기에 지그재그 주행을 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118] 일본의 스즈카 서킷 같은 일부의 경우 첫 번째보다 2번째 그리드가 더 유리하다고 보는 시각도 있는데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다.[119] 본선 레이스 중 기본적으로 정해주는 두 가지의 타이어를 한 번씩은 꼭 사용해야 한다.[120]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121] Access의 기능과 더불어 현재 경기 라이브 스트림, 모든 차량의 온보드 카메라, 모든 팀의 무삭제 팀 라디오, 실시간 순위표 이용 가능.[122] 현재 시즌 리플레이, 편집된 팀 라디오, 경기 기록, F1 아카이브에서 일부 과거 경기 영상 및 특별 다큐멘터리 이용 가능.[123] 온라인에서는 oksusu에서 STAR SPORTS 채널을 라이브로 시청할 수 있었으나, 2019년 9월에 oksusu가 wavve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채널이 삭제되어 더 이상 시청할 수 없게 되었다.[124] 디즈니+의 콘텐츠 경쟁력 강화가 목적이라고는 하나, 정작 한국 디즈니+에서는 STAR SPORTS 관련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125] 크롬이 아닌 엣지나 사파리로 시청하면 1080P로 시청이 가능하다.[126] 과거 JTBC는 생중계가 아니라 녹화 중계였고, 그마저도 퀄리파잉은 중계하지 않았다.[127] 이에 따라 윤재수 해설위원이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하던 라이브 코멘터리는 프랙티스만 진행하고 있다.[128] 오래된 명곡이지만 요즘 세대의 경우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에서 나왔던 노래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129] SBS 스포츠 오프닝 음악#이 이 테마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다.[130] 스타스포츠에서 F1를 방송할 때 쓰이는 곡이기도 하다.[131] 참고로, 영상 속 등장하는 F1 카는 2011 시즌 자우버 C30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기에 F1의 새로운 안전 규정 의무 장치인 헤일로를 장착하였다. 제작업체는 KWSP이다.[132] 2010년 10월 7일 열린 F1 일본 그랑프리에 맞춰 일본 미에현 스즈카 서킷에서 월드 프리미어가 거행됨.[133] 방송에서는 주로 기어박스라고 지칭한다.

관련 문서